제주도 4.3사건에 대해 알려주세요
제주도에서 정부에 의한 대규모 학살이 있었고 그걸 4.3사건이라 부른다는걸 얼마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제주도에서 그런일이 일어났다는게 너무 놀라웠고 왜 이제껏 모르고 살았는지... 제주4.3사건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수만 명의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입니다.
남북한 이념갈등이 계기가 되어 들고 일어난 남로당 무장대와 미군정과 국군, 경찰 간의 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억울하게 희생당하였습니다.
해방 후 혼란기에 발발하여 우리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많았던 불행한 사건입니다. 이로 인하여 아직도 제주도민들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어서 이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45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3.1절 경찰의 말에 아이가 치여 항의하러 모인 일반 시민에게 발포한 사건을 발단으로 하여 서북청년회등의 극우단체의 과잉진압으로 무고한 시민들이 대대적으로 희생당한 사건입니다.
일제의 패망이후 미군정의 편의로 대부분 대한민국의 국군, 경찰 된 정부 인력과 해당 도민에 남로당이 일부 있다는 이유로 좌파로 몰린 도민과 충돌했고 이후 서북청년단으로 대표되는 극우 무장단체의 테러를 북한의 남침 위협을 이유로 이승만 정부와 미군이 적극 개입 및 지시했습니다.
학살기간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를 하고 후 낮에는 국군과 경찰이 마을을 장악하였으며 밤에는 봉기 세력들이 점령을 반복했습니다.
제주도는 이미 일제에게 가혹한 수탈을 당했으며 결 7호작전이 시행되어 섬 전체가 폭격으로 초토화될 위기가 있었고 1945년 이후 7.27정전협정 이전까지 제주도는 사상 최악의 지속적인 기근에 시달렸습니다.
4.3일은 1948년 4월 3일 발생했던 대규모 소요사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 7개월에 걸쳐 제주도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3.1절 경찰의 말에 아이가 치여 항의하러 모인 일반 시민에게 발포한 사건을 발단으로 서북청년회등의 극우단체의 과잉진압으로 무고한 시민들이 대대적으로 희생당한 사건.
일제의 패망 이후 미군정의 편의로 인해 대부분 대한민국의 국군·경찰 된 정부 인력과 해당 도민에 남로당이 일부 있다는 이유로 좌파(빨갱이)로 몰린 도민과 충돌하였고, 그 이후 서북청년단으로 대표되는 극우 무장 단체의 테러를 북한의 남침 위협을 이유로 이승만 정부와 미군정이 적극 개입 및 지시하였다. 학살 기간 1948년 4월 3일 무장 봉기를 하였고 그후 낮에는 국군과 경찰이 마을을 장악하고, 밤에는 봉기 세력들이 점령하기를 반복했다.
제주도는 이미 일제에게 가혹한 수탈을 당한 것으로도 모자라 결7호 작전이 시행되어 섬 전체가 폭격으로 초토화될 위기에 처했던 적이 있었다. 1945년 이후부터 7.27 정전협정 이전까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제주도는 사상 최악의 지속적인 기근에 시달렸다. 그야말로 제주도 역사상 최악의 상황이었다고봐도 무방했을 때, 4·3이라는 명칭은 1948년 4월 3일에 발생했던 대규모 소요사태에서 유래하였다. 이 일은 훗날 제주 4·3 사건이라고 불린다.
목호의 난과 함께 제주도 역대 최대의 참사 중 하나이며, 여순사건, 국민방위군 사건, 보도연맹 학살사건, 경산 코발트광산 학살사건, 거창 양민 학살사건, 대전 산내 골령골 학살 사건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민간인이 억울하게 학살되거나 희생된 대표적인 사건으로 꼽힌다.
일단 반란을 일으킨 남로당계 공산주의자들과 반란 진압을 명목 삼아 무고한 민간인들을 학살한 서북청년단 등 극우 폭력단체가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이라 볼 수 있으며 정작 해당 남로당은 초반에 제주도를 떠나거나 제압되었다. 정치극단주의에 휩싸여 공권력의 대민 범죄를 방조, 묵인, 조장한 이승만 정부의 책임 역시 결코 가볍지 않다. 미군정 역시 해방정국의 혼란상이 있었다지만 제주도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진영 논리에 근거한 편파적인 판단을 내려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비판을 피해가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제주도민들을 상대로 각 정치 집단들이 대부분 학살에 가담하거나 방관, 조장하였기 때문에 그 누구도 책임에 있어 자유롭지 못한 비극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출처: 나무위키 제주도 4.3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