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가 정말 다른 항로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절약될 수 있는 이득이 우리나라에도 있나요?
지구 온난화의 심화로 인한 좋지 않은 일이기는 하지만 북극항로가 녹는다고 하는데 북극항로가 또 연관있는 국가들 입장에서는 항로의 단축으로 인해 경제적인 이득을 볼 수 있는 경로라는 보도가 있어요. 혹시 북극항로가 다른 항로에 비해 얼마나 경제적으로 유리한지 그리고 그 항로로 우리나라도 경제적인 이득을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북극항로는 기존의 수에즈운하 경로보다 약 30~40% 운항 거리가 단축되어, 연료비 절감과 운항 기간 단축 측면에서 경제적 이점이 큽니다.
특히 한국은 유럽과의 무역이 활발하므로, 북극항로를 활용하면 물류비 절감과 경쟁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조선업계는 쇄빙선과 친환경 선박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장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큽니다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북극항로가 다른 항로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절약될 수 있는 이득이 우리에게도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우리나라에서 미국이나 유럽을 갈 때에 북극항로를 이용하게 된다면
어떻게든 거리가 줄어들기에 물류비를 아껴서
경제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북극항로에 대한 경제성 평가 연구결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기존 수에즈 경로 대비 30~40% 단축 가능.
상하이(Shanghai) → 로테르담(Rotterdam) 경로에서 기존 21,000km → 14,000km로 축소 가능.
연료 절감 및 운송 시간 10~14일 단축 → 선박 회전율(턴어라운드) 증가.
2024년 NSR을 통한 운송량: 3,800만 톤(Mt) (2014년 370만 톤 대비 10배 증가).
그러나 러시아의 쇄빙선 비용($100,000~$300,000), 높은 보험료 등의 추가 비용 발생.
연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NSR의 TEU당 비용은 $349.32로 수에즈 운하($286.28)보다 높음.
이때문에 약 2050년 정도면 우리나라도 경제적으로 이용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