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기타 영양상담

엔리코오노프리
엔리코오노프리

치즈를 만들때 보통 수개월에서 1년 걸리는 것도 있던데 치즈는 왜 상하지 않는거죠?

안녕하세요

치즈를 만들 때 우유로 만드는데, 어떤 원리로 인해서 1년넘게도 숙성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정의가 조금 다르겠지만, 어떤 식품 원료에 A라는 미생물이 들어가서 반응하고 그 결과물이 원하는 산물로 나올 경우는 상한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면, 된장이 그렇습니다. 반대로, 미생물이 들어갔지만 원하는 결과물이 아닐 경우는 "상했다"라고 합니다.

    치즈제조 과정 중에 마지막 숙성의 과정에서 미생물이 작용합니다. 이 떄, 미생물(유산균) 또는 효소들에 의해서 숙성 과정 전의 치즈(커드라고 합니다.)의 성분이 분해되면서 풍미가 있는 성분으로 변화게 합니다 .이러한 작용을 낮은 온도에서 진행하며, 장시간 숙성할 수록 그 향미는 더 강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사실 유럽의 치즈들 중에 어떤 것은 정말 못 먹을 정도의 맛과 향이 있습니다. 이걸 어떻게 먹어? 라고 하지만 그 때 "이거 상한거 아니야?"라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런데, 외국인들은 잘 먹습니다.

    상한거나 숙성이나 원리는 똑같습니다. 다만, 인간에게 이로우면 먹고 해로우면 "상한 것"입니다.

    (다양한 자세한 것들이 있지만, 간략하게 작성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발효를 시키게되면 부패와 달리 유용한 성분이 생성되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주면 상하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우향 영양사입니다.

    치즈가 오랜시간 동안 상하지 않고 숙성될 수 있는 이유는 발효와 저수분 상태 덕분이며 치즈를 만들때 유산균이 우유 속의 유당을 분해하면서 유기산을 생성하며 이 유기산이 PH를 낮춰 유해균이 자라는걸 막으며 치즈는 물기가 적은 상태에서 만들어 지기 때문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라기 어려우며 많은 치즈는 소금을 추가하는데 소금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