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옹기는 황토였을 때 노란색이었는데 왜 구우면 짙은 갈색으로 변하고 단면은 붉게 변할까요?

옹기를 처음 빚었을 때는 갈색을 조금 띈 노란색이 그대로인데 바싹 말리고 나서 회색 잿물을 바르고 또 말린 뒤 유약을 발라서 아궁이에 구우니까 짙은 갈색으로 변했더라고요. 단면은 조금 붉은색으로 변했더니만 결은 엄청 미끄럽고 빛이 나더라고요.

왜 가마에 구운 옹기는 황토색과 다른 갈색으로 변하기도 하나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옹기가 황토색에서 갈색이나 붉은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가마 속의 온도와 불꽃의 산화-환원 반응으로 흙 속 철 성분이 화학적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온도가 470℃ 이하에서는 흙이 어둡고 검은색을 띠지만, 그 이상에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붉은색·오렌지색·황백색으로 변합니다. 1000℃ 안팎의 고온에서 소결이 이루어지며, 옹기의 최종 색이 갈색·적갈색으로 고착됩니다.

    또한 가마 속의 불꽃의 산소의 양에 따라 옹기의 색깔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옹기가 황토색에서 짙은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가마에서 굽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와 미세구조 변화 때문인데요, 황토는 주로 규소(SiO₂), 알루미늄(Al₂O₃), 철 성분(Fe₂O₃) 등을 포함합니다. 그 가운데 색을 결정하는 핵심은 철(Fe) 입니다. 철의 산화 상태가 변하면서 색이 바뀌게 되는데요 처음의 누런색은 수화된 철광물이기 때문이고, 가마에서 고온으로 굽는 동안 수분이 빠지며 진짜 산화철(Fe₂O₃) 상태가 되어 붉거나 갈색으로 변합니다.

    회색 잿물은 보통 나무재(ash) 로, 칼륨(K), 칼슘(Ca), 나트륨(Na) 등의 알칼리 성분이 포함됩니다. 이것이 황토 속 규소(SiO₂) 와 반응하여 유리질 표면을 만들기 때문에단면이 유리처럼 미끄럽고 빛이 나는 이유입니다. 즉 표면이 녹아 유리화되며 구멍을 메우기 때문에 방수성과 강도가 증가하며 이를 부분적인 유약 형성이라고 합니다.

    이때 가마는 내부가 완전히 균일한 산소 환경이 아니며,

    부위별로 산소가 풍부한 곳은 붉은색(Fe₂O₃)을 나타내고 산소가 부족한 환원 영역은 검붉은색, 짙은 갈색(Fe₃O₄ 또는 FeO)이 생깁니다. 또한 잿물과 유약이 철과 반응하여 복합 색상을 만들기 때문에 겉면은 짙은 갈색, 단면은 붉은색처럼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