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리는 왜 0.25%씩 올라가나요?
힌국이나 미국 경제뉴스를 보면 금리를 0.25%, 0.5%씩 올리는데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0.1%,0.01%씩 올릴수는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와 같은 경우 과거에는 0.1%, 0.01% 등
이런식으로도 조절하였지만 효과가 미비하다는 지적에
금리인상폭을 넓힌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90년대 앨펀 그린스펀 당시 연준 의장이 이른바 ‘베이비 스텝’(애기 발자국)식 금리 조정이 바람직하다며 시행에 나선 이후 전 세계 중앙은행의 관례로 자리 잡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와 우리나라는 금리인상폭을 25bp로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0.1% / 0.01%의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않아 최소 25bp 단위로 움직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마도 미국 측 기준 금리 인상이 25bp 즉, 0.25% 단위로 조정을 하여 다른 주요 국들도 추종하는 듯합니다. 특별한 규칙이나 룰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0.25%p가 사실상 '불문의 율' 처럼 여겨지고 있는 이유이며, 한다고 한다면 0.1%p, 0.01%p 이렇게 조정도 물론 가능하나, 이렇게 조정하는 것은 거시경제 등에 영향을 주기가 어렵기에 0.25%p 정도 조정해서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