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평소 낮잠은 잘 자는데 밤잠을 잘 안자려고 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9개월 된 아가인데 아침 첫 수유하고, 낮에 놀다가는 잘 자는데 유독 밤에만 잠을 잘 안자려고 해요 최근에 분리수면을 했는데 시기가 너무 늦어서 그런걸까요?ㅜ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밤잠을 잘 자려면 일정한 생활습관이 필요해요. 아이의 수면 패턴을 만들기 위해 - 아침 일어나는 시간, 낮잠 시간, 저녁 식사 및 욕실 이용 시간 등을 규칙적으로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가능하면 밤 수면환경을 조금더 쾌적하게 해주는것도 좋습니다. - 또한 자기전에 마사지를 해주거나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해주거나 하면서 수면패턴을 만들어주는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기에 습도는 적절한지 채광은 들어오지 않은지 수면 환경을 체크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분리 수면을 시작하셨다면 아이가 눈을 떴을 때 부모님이 옆에 없어서 심리적으로 불안한 마음에 잠을 못자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9개월이면 분리수면이 늦지는 않았습니다. - 아이는 혼자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강압적으로 분리수면을 하시기 보다는 잠들기전에 다음 것들을 옆에서 해주세요 -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분리 수면의 경우 생후 6개월 이전에 하시거나 그 시기를 놓치면 3세 이후에 하라고 권장합니다. 6개월쯤에 부모와의 애착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시기를 놓치면 분리 수면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낮잠을 많이 자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수면 환경이 좋지 않은 이유일수도 있습니다. 온도는 22도 습도는 50%가 적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분리수면은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닌 것 같습니다 - 다만 낮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경우에 - 어린 아이들이라도 밤잠이 부족한 경우가 간혹있습니다 - 아이의 성장을 위해서 낮잠이 좋지만 - 낮잠시간이 너무 많다면 조금 줄여보는 것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밤에 잠을 잘때 아이가 배고픔을 호소하지는 않는지 - 너무 늦게 수유를 하시지는 않는지 - 기저귀를 안갈지는 않았는지 등등 - 여러가지를 고려해보시고 -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잠자는 패턴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매일 일정한 시간에 목욕을 한 후 잠자리에 들게 하는 습관을 들이면 아이의 수면 패턴이 잡혀갈 것입니다. - 밤에는 좀 더 방안을 어둡게 해서 잠드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분리수면의 시기가 늦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일단은 아이가 밤에 잘 때,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해주시고 - 안막커튼 등을 이용하여 어두운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 아이와 같은 경우 수면교육도 필요하니 위와 같이 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기가 돌 무렵이 되면 놀이에 흥미를 느껴서 놀이하는 것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잠을 안 자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되도록 수면 직전에는 아기를 흥분시키는 놀이보다는 목욕을 하거나 그림책을 보는 등 전반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긴장을 - 이완시키는 놀이들이 더욱 좋습니다 - 낮잠 시간을 체크해서 낮잠을 좀 더 줄여 나가면 밤에 일찍 잠자리에 들 수 있으며 이 때 엄마 아빠도 함께 잠자리에 드는 척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분리수면이 원인일 수 있으니 당분간은 함께 자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