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의 소대변은 왜 산성을 띄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동물들은 대변을 보더라도 산성이 있는건 아닌데요 그런데 왜 유난히 조류의 소대변은 왜 강한 산성을 갖고 있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조류는 요산 형태로질소를 배설해 수분을 아끼는데, 이떄 요산인산 지방산등이 함꼐 섞여 강한 산성을 띱니다.
조류의 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요산이 산성을 띠는 주된 이유입니다. 다른 동물들이 주로 요소 형태로 질소 노폐물을 배출하는 것과 달리, 조류는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요산 형태로 질소 노폐물을 배출합니다. 이 요산은 물에 잘 녹지 않는 고체 형태로 배출되며, pH가 낮아 산성을 띠게 됩니다. 따라서 조류의 대변은 요산 결정이 포함되어 있어 강한 산성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조류의 소대변은 산성을 띄는데요 이는 조류의 배설 구조와 질소 배설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선 조류는 항문과 요관이 분리된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데요 즉, 소화관과 비뇨기관이 총배설강이라는 공용 배출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따라서 새는 소변과 대변을 동시에 배출하며, 수분을 최대한 절약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이때 대부분의 포유류는 질소 노폐물을 요소 형태로 배설하지만, 조류는 요산 형태로 배설하는데요 요산은 수용성이 낮고 물에 녹기 어려운 고체 형태로 배설되며, 이를 통해 수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즉 요산 자체가 약간 산성으로 pKa 약 5~6을 가지므로, 조류의 대변은 요산 함량 때문에 자연스럽게 산성을 띄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조류의 위에는 근육성 위가 있어 음식물을 기계적으로 분쇄하는데요, 일부 조류는 위에서 HCl과 같은 강한 산을 분비하여 단백질을 소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과 체액이 혼합되면서 배설물도 약간 산성으로 나옵니다. 특히, 새의 대변에는 소화되지 않은 요산 결정과 일부 단백질 분해산물이 포함되어 산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조류의 배설물에 포함된 요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질소 노폐물을 물에 잘 녹는 요소 형태로 소변과 함께 배출합니다. 하지만 조류는 질소 노폐물을 요산 형태로 배출하는데, 요산은 물에 거의 녹지 않는 흰색의 페이스트 또는 결정 형태의 물질입니다.
조류가 질소 노패물을 요산 형태로 배출하는 이유는 수분을 아낄 수 있고, 배설에 물이 많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설물로 인한 체중을 늘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조류의 배설물은 검은색 부분인 대변과 흰색 부분인 요산이 함께 섞여 있는 형태입니다. 이 중 강한 산성을 띠는 요산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 배설물 역시 높은 산도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