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을 회피할수 있는 방어기전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를 키우다보니
방어기전이 요즘 궁금한데요.
상황을 회피할수 있는 그런 상황에
어떤 방어기전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상황을 회피하는 상황의 방어기전은
아이들의 대부분 부모님에게 혼나는 상황이 무섭고 두려움을 느끼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에 부모님에게 혼나는 상황의 위기에서 모면하기 위해 그 상황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겠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회피 하다보면 거짓말을 하는 습관이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절대 그 상황을 회피 하긴 보다는 그 상황을 어떻게 해결을 하면 좋을지에 대한 부분을 생각해 보고 알맞은 행동으로 상황을 해결 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황을 회피할수있는 방어기전에는 회피하기나 투사가있습니다 특히 투사는남에게 책임회피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스트레스나 불안을 느낄 때 방어기전을 사용하여 감정을 처리하려고 합니다. 부모로서 이러한 방어기전을 이해하면 아이가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불안하거나 두려운 상황을 피하고자 하는 회피 행동이 있을 수 있스빈다.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가 아프다고 주장하거나 특정 활동에서 자신이 느끼는 불안을 피하기 위해 그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아이를 키우다 보면 아이들이 어떤 어려운 상황이나 스트레스가 있을 때 본능적으로 방어기전(방어기제)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어기전은 심리학에서 개인이 불안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감정을 처리하려고 사용하는 무의식적인 전략들을 의미합니다. 상황을 회피하는 방어기전은 특히 불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나타나는데, 아이들이 그 상황을 견디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아이들이 상황을 회피할 때 나타내는 방어기전은 다양합니다. 불안한 상황이나 감정을 다루기 위해 아이들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방어기전을 사용하며, 이는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부분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아이가 어떤 방어기전을 사용하고 있는지 인식하고, 아이가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방어기전이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기도 하므로, 적절한 대화나 지지를 통해 아이가 건강하게 감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방어기제에 대해서 이제 어느정도 이해가 되셨을런지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황 회피를 위한 방어기전으로는 부인, 투사, 회피, 합리화가 있습니다. 이들은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줄이려는 무의식적인 방법으로 아이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방어기전으로는 부인, 합리화, 전이, 퇴행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전은 스트레스나 불안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사용하는 방어 기제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대표적으로
억압 : 본인의 생각을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막는 것. 즉, 억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 : 현실에서의 사건이나 닥친 일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현실 부정이라고 하는 것.
투사 : 타인의 탓으로 문제의 원인을 돌리는 것.
합리화 : 나의 행동을 합리화하여 문제가 업삳고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있으나 아이들이 사용하는 방어 기제는 대부분 이 안에 속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러한 방어 기제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도를 아이에게 해 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