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1.11.07

밤낮이 바뀐 사람은 몸에 안 좋은가요?

업무상 밤에 일하고

낮에 자는데 낮에 자면 밤잠보다 효과가 없을 것 같은데

리듬이 깨지면 우리 몸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궁금하니다.

야간근무 오래 하신 분들 건강이 안좋아져서 결국 일을

그만둔 분을 몇명 봤거든요

낮에 하는 일로 바꿔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밤에 항상 일하고 낮에 항상 잔다면 크게 리듬이 깨질 일은 없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우리와 반대로 자는 외국 사람들은 그들의 리듬이 깨지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다만, 주변이 밝으면 우리 몸이 낮이라 인식하기에, 잘때는 어둡게 자고, 일할때 환하게 일하는 것만으로 크게 문제 될 것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우리의 몸은 낮에는 활동을 하고 밤에는 쉬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낮에 활동할 때와 밤에 활동할 때 각각 몸에서 다른 대사 반응이 일어나고 호르몬 분비가 다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밤낮이 바뀌지 않은 생활을 하셔야 합니다.


  • 국제암연구기구에 따르면 교대근무는 2급 발암 위험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국내 연구에서는 주55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이나 교대근무가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은 1.13배, 뇌졸중 위험은 1.33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 결과에 제한이 있어 영향을 판단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으나 미국 연구에 따른 15년 이상 교대근무를 한 간호사의 폐암 발생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25% 높았으며, 아이슬란드 연구에서는 수면장애 노인의 전립선암 발생 위험이 2.1배 높았습니다.

    다른 연구에서 30년이상 야간 교대근무를 한 여성에서 유방암 발병 위험이 1.36배, 자궁내막암 위험이 1.47배 높았습니다.

    햇빛 노출 시간이 낮아 칼슘 흡수와 골세포를 발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비타민 D가 낮게 나타난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교대근무 혹은 야간근무를 5년 이상 하게 되면 교대 근무를 안 한 사람에 비해

    더 빨리 사망할 가능성이 11% 정도 된다고 합니다.

    보기에 따라서 의미있는 수치 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정도인데요.

    연구들에 따르면 암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손상을 복구하는 과정과

    24시간 리듬이 동조되는데, 이 부분의 문제로 유전자 복구가 취약해 지는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습니다.

    5-15년간 야간근무시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은 19% 증가하고,

    15년 이상인 경우에는 23%까지 증가한다고 하니,

    야간근무를 하시는 경우에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해,

    혈압약, 고지혈증약 등을 잘 챙겨서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IARC라는 국제 암연구 조직에서는 야간교대근무를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분류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