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꽃은 어떻게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고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꽃은 어떻게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고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일 까요? 꽃 안에서 존재하는 생체 시계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알려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식물은 특정 유형의 광수용체를 사용하여 빛의 길이와 강도를 감지합니다. 이 광수용체에는 레드와 파르 레드 빛을 감지하는 파이토크롬과 블루 빛을 감지하는 크립토크롬이 포함됩니다. 광주기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식물은 계절의 변화를 인지하고 이에 맞추어 개화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식물은 긴 낮 시간(장일 식물)을 필요로 하고, 다른 일부는 짧은 낮 시간(단일 식물)을 필요로 하여 개화합니다.
    일부 식물은 베르날리제이션(vernalization)이라는 과정을 통해 충분한 저온 노출 후에야 개화를 시작합니다. 이 과정은 겨울 동안 축적된 저온 신호를 이용해 봄이 오고 있음을 식별하고, 적절한 시기에 개화가 진행되도록 합니다.
    식물 내부의 생체 시계는 이러한 환경 신호들을 통합하여 개화 유도 인자(flowering locus T protein)의 발현을 조절합니다. 이 인자들은 식물 호르몬과 상호 작용하며, 궁극적으로 개화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개화 시기를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은 온도를 감지합니다. 식물들은 특수한 형태의 히스톤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서 온도에 따라서 꽃을 피우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꽃이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고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은 식물 내부에 존재하는 생체 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식물의 생체 시계는 복잡한 유전자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작용하며 주기적인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게 됩니다.

    주로 낮과 밤의 길이 변화는 식물이 계절을 인지하는 가장 중요한 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식물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피토크롬이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는데, 피토크롬은 빛을 흡수하여 형태가 변화하고, 이 변화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개화 시기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온도 변화 역시 개화 시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정 온도 이상이 되어야 꽃눈이 형성되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물론 일부 식물은 빛이나 온도와 같은 외부 신호 없이도 내부적으로도 시간을 측정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전자 네트워크가 스스로 진동하며 주기적인 리듬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꽃은 생체 시계인 '생물시계'를 통해 계절 변화를 감지합니다

    . 주로 빛의 양과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개화 시기를 조절하며,

    이 과정에서 '피리도크롬'과 같은 단백질이 중요합니다.

    이 단백질은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고,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꽃의 개화 신호를 생성하는것으로 추론되고 있어요

  • 꽃은 빛의 양과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계절 변화를 알아채고 개화 시기를 조절합니다. 낮의 길이 변화와 온도 변화를 인지하는 유전자가 꽃의 생체 시계 역할을 하며, 이 유전자들이 특정 단백질을 생성하여 개화를 유도하거나 억제합니다.

  • 안녕하세요.

    꽃이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고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메커니즘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체 시계 (circadian rhythm)와 광주기 반응 (photoperiodism), 그리고 온도 변화 (vernalization)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꽃을 포함한 많은 식물들은 생체 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체 시계는 일정한 주기로 식물의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내재적인 시간 측정 시스템으로, 대개 24시간 주기로 작동합니다. 이 시계는 빛과 어두운 주기에 맞춰 식물의 내부 시간과 외부 환경을 조화롭게 맞춥니다. 빛과 어두움은 식물의 생체 시계를 리셋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식물은 빛의 강도, 색, 지속시간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루 중 어느 시점인지 파악합니다. 생체 시계는 꽃이 피는 시기뿐만 아니라, 광합성, 성장, 호르몬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합니다. 광주기 반응은 식물이 낮과 밤의 길이 (즉, 일조시간과 야경시간)에 따라 개화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광주기 반응은 크게 단일식물 (long-day plants), 단일식물 (short-day plants), 그리고 무차별식물 (day-neutral plants)로 나눠집니다. 단일식물들은 낮의 길이가 일정 기준 이하일 때 개화가 촉진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을이나 겨울처럼 낮 시간이 짧아지는 계절에 꽃을 피웁니다. 예를 들어, 국화와 같은 식물들이 이에 속합니다. 장일식물들은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여름철에 개화가 촉진됩니다. 즉, 봄이나 여름처럼 일조시간이 길어지는 시기에 꽃을 피웁니다. 예를 들어, 밀, 보리, 상추 등이 이에 속합니다. 꽃의 개화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생리적 신호 중 하나는 식물 호르몬입니다. 여러 호르몬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꽃의 개화 시점을 조절하는데, 그 중 주요한 호르몬은 자르친(Jasmonic acid), 옥신(auxin), 사이토키닌(cytokinin), 가브렐린(gibberellin), 에틸렌(ethylene) 등입니다. 식물은 외부의 환경 신호 (빛, 온도, 습도 등)와 내부의 생체 시계를 결합하여 최적의 개화 시기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빛의 양과 온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생체 시계가 이를 인식하고, 관련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꽃이 피는 과정을 시작합니다. 또한, 식물들은 계절 변화에 맞춰 생리적으로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리며, 이는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시점에 꽃을 피우기 위한 전략입니다. 정리하자면, 꽃이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고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생체 시계, 광주기 반응, 온도 변화, 그리고 호르몬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식물은 환경에서의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맞춰 개화 시점을 정함으로써 번식과 생존을 최적화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진화적 압력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발달해 왔으며, 각 식물 종마다 개화 시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꽃은 온도에따라 개화시키는 유전자 발현이 다릅니다.

    꽃의 종류마다 특유의 개화온도가 존재하여

    각각 꽃이 피는시기에 차이가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꽃은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온도, 빛의 양(일장), 그리고 내부 생체 시계를 활용합니다. 식물에는 피토크롬과 같은 광수용체가 있어, 낮의 길이(일장)를 인식하며, 이를 통해 특정 계절임을 감지합니다. 예를 들어,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은 일장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특정 온도(춘화 처리)를 경험한 후 FT 단백질(Flowering Locus T) 같은 개화 유도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 물질은 잎에서 형성되어 꽃의 형성 부위인 생장점으로 이동하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개화를 유도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식물 내부의 생체 시계와 상호작용하여, 적절한 시기에 꽃이 피도록 정교하게 조절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꽃안에 꽃을피우는 DNA가 존재합니다.

    이 DNA는 히스톤단백질을 감싸고있어서

    이 단백질이 풀리지 않으면 DNA가 발현되지 않습니다.

    히스톤단백질은 특정온도에서 풀리는 특성이 있기때문에,

    특정온도가 되면 이 DNA가풀려나면서 꽃이 피기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