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방구는나가서
방구는나가서22.11.25

인공적으로 비내리는 기술의 원리가 뭔가요?

이제는 비를 인공적으로 내릴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데

어떤 원리로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는 건가요?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하면 혹시 부작용같은건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구름층이 형성되지 못하여 구름 방울이 빗방울로 성장하지 못할 때,

    인위적으로 작은 입자인 비씨를 뿌려 특정지역에 강수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구름에 요오드화 은을 뿌리면 구름 입자를 생성시킬 수 있고,

    흡습성 물질을 첨가하면 물방울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기상청의 경우 인공강우 실험을 하고 있지만,

    원하는 날짜에 비를 내리게 하는 기술은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인공우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지만, 인위적으로 구름을 성장시켜 비를 내리게 함으로써

    주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정적인 견해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이 형성되기위한 조건은 증발된 많은 수증기와 수증기가 달라붙을 수 있는 응결핵등이 있어야합니다.


    그래서 증발량을 높이는 방법과 수증기가 많은지역에 응결핵을 뿌려주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5

    구름은 있지만 비를 내리지 못하는 이유는 구름속의 작은 물방울 입자들을 서로 뭉치게 할수 있는 응결핵이나 빙정핵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인공강우는 빙정핵이 부족하여 물방울이 서로 뭉치지 못하는 구름에 빙정핵이 될수 있는 물질을 도포하여 물방울을 뭉치게하고 비로 내리게 하는 것입니다.


    구름의 두께가 큰 구름의 상층에는 얼음이 같이 존재하므로 빙정핵으로 요오드화은 또는 드라이이 아이스를 사용하고,


    낮게 고 얇게 펴진 구름에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요소 같은 물을 흡수하는 물질을 도포 하여 물방울을 뭉치게 합니다.


    빙정핵을 도포하는 방법은 항공기를 이용 하거나, 로켓을 구름위로 쏘아올려 구름에 도포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