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겸손한꽃게197
겸손한꽃게19723.06.12

과학을 공부중 상대습도랑 절대습도가 있더군요.

과학을 공부중 상대습도랑 절대습도가 있더군요.

습도는 공기중 수분 함유량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상대습도와 절대습도가 있다고 하니 어지럽네요.

상대습도와 절대습도의 차이와 개념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는 공기 중에 수분이 얼마나 함유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대습도와 절대습도는 모두 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각각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대습도는 현재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과, 해당 온도에서 포화수증기량(이상 기체의 수증기 압력)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대습도는 %로 표시되며, 100%는 해당 온도에서 포화 상태를 의미합니다.

    반면, 절대습도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실제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절대습도는 일반적으로 그램/미터^3(g/m^3) 단위로 표시됩니다. 상대습도와 달리, 절대습도는 온도, 압력 등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는 최대포화수증기량 대비 현재의 수증기량을 계산해 비율로 나타낸것이고,

    절대습도는 현재수증기량을 측정하고 질량으로계산해 단위부피당수증기 질량 같은 단위로 계산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공간에있는 습기를 질량으로나타내 계산한것을 절대습도라고하고, 현재 공간에서 포화수증기량 대비 현재수증기량을 비율로 계산한것이 상대습도입니다.


  • 공기 중에 들어있는 수증기의 양을 습도라고 합니다. 절대습도는 공기 1m^3 속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는 현재 공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수증기의 양에 대해 얼마나 들어있는가를 나타냅니다. 절대 습도는 g/m^3, 상대습도는 %로 나타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습도는 상대습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대기 중의 수증기의 실제 함량과 해당 온도에서 포화수증기압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상대습도는 백분율로 표시되며, 주어진 온도에서 대기가 포화 상태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냅니다.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대기는 포화 상태에 가깝고 수증기가 포화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대기에서 수증기가 더 증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습도가 50%라면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해당 온도에서 포화 수증기압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절대습도대기 중의 실제 수증기 함량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절대습도는 단위 체적당 수증기의 그램 수로 표시됩니다. 즉,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질량을 공기의 체적으로 나눈 것입니다. 예를 들어, 1m³의 공기에 10g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지점의 절대습도는 10g/m³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대 습도는 일정 공기 속에 있는 수증기의 질량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대 습도는 현재 공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량 대비 수증기가 최대한 포함할 수 있는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래서 표기법도 다른데요, 절대 습도는 분수형태로 나타내며 상대 습도는 백분율로 표기합니다.

    또한 절대 습도는 온도와 관계가 없지만 상대 습도는 공기 온도와 관련하여 측정하는 수증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대습도와 상대습도 차이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그 질량으로 나타낸 것이 절대습도이고,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현재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상대습도라고 합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습도와 절대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량을 나타내는 두 가지 습도 개념입니다.

    1.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상대습도는 현재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량과 해당 온도에서 포화 수증기량 간의 비율로 표현됩니다. 상대습도는 특정 온도에서 공기가 수증기를 포화시킬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상대습도는 백분율로 표기되며, 100%에 가까울수록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에 가까워집니다. 상대습도가 100%에 도달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되어 이슬이나 구름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대습도는 주로 날씨 예보와 대기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 절대습도는 일정한 공간 내에 실제로 포함된 수증기의 질량을 나타냅니다. 즉, 절대습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량을 공기의 총 질량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됩니다. 절대습도는 일반적으로 그램 단위로 표시됩니다. 상대습도와 달리, 절대습도는 온도에 무관하게 실제 수증기의 양을 표현하므로, 온도에 변화에 따라 절대습도가 변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한 식으로 우선 표현하면요...

    상대습도=현재수증기압 / 해당 온도의 포화 수증기압으로 표현할 수 있느데요..압력 비율대비 압력이므로 % 단위로 표시합니다.

    현재 수증기압을 해당 온도의 포화 수증기압으로 나눠주는 값이라 온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죠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화수증기압이 증가하는데요...그래서, 같은 수증기압이라하더라도 온도가 낮으면 상대습도는 올라가게 되고

    온도가 높으면 상대습도는 떨어지게 됩니다.

    절대습도라는 것은..

    단위부피 1m3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 것으로..

    절대습도는 말 그대로 온도에 따라 값이 달라지지 않게되죠..상대습도와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즉, 온도가 10도에서 20도로 올라간다고해서 수증기의 양이 바뀌지 않죠..그래서, 절대습도는 온도에 변화하지 않는 것입니다.

    실 생활에서는 상대습도를 많이 사용하지만..실제 공학에서는 절대습도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