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평가 기준 및 장점 단점 알러주세요
상대평가는 어떤방식으로 기준이 되는지요
상대평가 60점 이상 합격이면 모두 다 합격처리가 된다는 뜻인가 궁금합니다
등수를 매긴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아직 절대평가 제도가 적용되어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는 점수와 관계없이 인원수를 정하여 00등 까지는 합격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하는데, 공인중개사 지원자가 많다보니 상대평가 방식 도입이 언급되었으나 현재는 지원자가 많이 감소하여 의견이 많이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상대평가는 시험이나 과제 등의 평가에서 학생들의 점수를 서로 비교하여 순위를 매기는 평가 방식입니다. 점수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이 될 수 있으나 이는 단순 점수 기준이 아니라 전체 학생들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등급과 합격 여부가 결정됩니다.
즉 단순히 60점 이상 모두가 합격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과목을 듣는 학생들 점수 분포에 따라 몇 %까지 A,B,C 등급을 받는지가 정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상대평가는 전체 응시자 중에서 일정 비율만 합격(또는 A, B 등급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점수가 아무리 높아도 다른 사람이 더 잘 보면 떨어질 수 있고, 점수가 다소 낮아도 다른 사람이 못 보면 붙을 수 있습니다
기준점수(예: 60점) 최저 기준선입니다
그 이상이어야 합격 고려 대상이 됩니다
등수 또는 상위 비율 보통 전체 인원의 상위 몇 %만 선발 (예: 상위 30%)
커트라인 그 시험에서 합격자 중 가장 낮은 점수 (등수로 결정됨)
즉, 60점 이상을 받았더라도, 상위 % 안에 못 들면 불합격입니다
반대로 커트라인이 58점이면, 58점도 합격할 수 있습니다
,상대평가의 장점과 단점
- 변별력 확보 가능 (우수자 선별) - 불공정하다는 인식 생기기 쉬움
- 경쟁력 향상 유도 - 팀워크 해침 (비협조 유도 가능성)
- 점수가 낮아도 합격 가능 (운에 따라) - 점수가 높아도 떨어질 수 있음
- 인원 조절 용이 (자격시험, 승진 등) - 스트레스, 경쟁 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