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제품 수리

자동차 수리

수요일
수요일

자동차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은?

자동차의 배터리는 자동차의 전기장치를위해서 항상충전이 되어있는데 이자동차 배터리에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있다면 무엇이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영 엔지니어입니다.

    방전이 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큰 요인중 하나 입니다.

    그다음으로는 습한곳에서 방전율이 높아집니다.

    실내 외부장치들은 시동을 끄고나서도 작동을 하게되면 방전의 요인이 되기도 하며 외부장치의 노후로 소비전류가 높아지게 되면 방전을 일으키는 원이 되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자동차의 배터리는 자동차의 전기장치를위해서 항상충전이 되어있는데 이자동차 배터리에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있다면 무엇이있을까요?

    1. 심한 진동

    도로상황이나 자동차 구조상 진동이 심한경우 배터리 내부에도 진동이 전달되어극판에 스트레스를 많이 주게되면 단락될 수 있고, 활물질도 극판에서 빨리 탈락되는 현상을 가져오게됩니다.

    2. 높은 주변 온도

    요즘 자동차는 옛날차보다 엔진룸의 온도가 높습니다. 물론 한여름에 뜨거운 햇볕에서 에어콘을 가동한후 장시간 주정차시키는것처럼 사용방법에 따라 엔진룸온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높은 온도는 극판의 수명을 짧게 하는데, 특히 구조상 한쪽 면만 더 높은 온도에 노출된경우는 그 정도가 심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배터리를 단열재로 보호하거나 벽을 설치해 열을 차단하는 추세입니다. 있는것도 있는데, 대개 이런 구조에서는 배터리 수명이 깁니다.

    3. 전기사용량

    전기 사용량이 많을 수록 배터리도 그만큼 많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킵니다. 상대적으로 전기장치가 별로 없는차보다 일을 더 하므로 수명이 짧아지는것은 당연!

    4. 자동차 노후로 인한 전기계통 약화

    전기배선은 오래될수록 산화와 간접적 부식을 통해 저항이 커집니다.

    대개 계기판의 방향지시램프가 새차일때는 작동해도 다른 전기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몇년이 지나면 시계도 약간씩 흐려지고 계기판 등도 방향지시래프 켜짐과 동시에 같이 흐려지는것을 쉽게 볼 수 있을겁니다.

    5. 종지전압(10.5V) 이하로 방전

    누구나 실수로 주차시 램프를 켜 놓는다거나, 문들 덜 닫아서 도어램프가 켜져서 또는 자체 누전으로 인한 방전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았던 적이 있을겁니다. 단순 방전의 경우 쉽게 충전되고 배터리 수명에도 별 지장을 주지는 않지만, 장기 주차등으로 인한 종지전압이하로의 방전은 극판의 성분을 변화시켜 충전이 되어도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어렵습니다. 이런 배터리는 충전이 다 되어도 제 용량을 쓰기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