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 사람들은 성취의 결과를 중요시하는데 개선해야 할까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성취의 과정보다는 성취의 결과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가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도 이러한 성향이 크게 작용한 것일 수 있는데요. 요즘에는 성취의 과정을 중요시하자는 말도 많습니다. 요새 우리나라 사람들은 성취의 결과를 중요시하는 것은 바뀌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뀌어야 하지만 바뀔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 됩니다.

    물론 과정이 중요하지만 결과물이 없으면 안되고 인정을 받을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변화하는 사회 환경으로인해 이제 개인의 행복, 삶의 질, 과정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있기때문에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맞춰 사회 시스템 개선, 교육 및 문화 변화 필요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선할수있다면 개선해야합니다. 성취의 결과를 중요시하는 것은 개인이나 사회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이 외에도 과정에서의 노력과 열정, 실패를 통한 성장 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가치들을 함께 존중하고 추구함으로써 보다 균형 잡힌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네, 그렇습니다. 물론 성취, 성과물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 자체를 경시하는 경향(즉, 성취, 성과물이 없다면 그 과정 자체를 인정 안해주는 행태)이 있어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취의 결과를 중시하다보니 눈부신 성장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낸 측면도 있으나 이 과정에서 소외된 노동자 농민들의 희생을 뒤돌아 봐야 할 때입니다. 자원빈국이어서 자원을 수입해서 수출을 통해 먹고 사는 구조이다보니 저임금 정책으로 노동자의 희생이 강제되었고 저임금에 따른 저곡가즹책으로 농민들의 희생이 밑바탕에 깔려 있었습니다. 이제는 과정의 중요성을 생각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