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이 차가워지면 왜 움직이기가 불편해지는건가요?
겨울철이 되면 일먕 손이 꽁꽁언다고 그러잖아요?
온도가 내려가면 왜 감각이 둔해지고 동작이 느려지는건가요?
어떠한 작용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차가운 환경에 노출되면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로 가는 혈류를 줄이기 위해 말초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 과정을 혈관 수축(vasoconstriction)이라고 합니다. 손과 발 같은 말초 부위의 혈관이 수축하면, 혈액 순환량이 감소하여 피부와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줄어듭니다. 결과적으로, 손의 온도가 떨어지고, 조직의 대사 활동이 느려집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신경 섬유에서의 전기적 신호 전달 속도도 느려집니다. 신경 세포의 활동은 온도에 매우 민감하며, 낮은 온도는 세포 막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신경 전달물질의 방출과 재흡수 속도를 늦춥니다. 이로 인해 손의 감각과 운동 조정 능력이 저하되며, 반응 시간이 길어지고 정교한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근육의 온도가 내려가면, 근육 수축과 이완에 필요한 효소 활동이 느려집니다. 근육 섬유의 반응성이 감소하고, 근육의 강도와 지구력이 저하됩니다. 이는 손의 민첩성과 힘을 줄여 움직임을 더욱 불편하게 만듭니다.추운 날씨에 손이 꽁꽁 얼고 감각이 둔해지는 이유는 체온이 떨어지면서 보이는 우리 몸의 반응때문입니다.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 표면의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는 몸의 중심부로 열을 집중시켜 체온을 유지하려는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결국 혈관이 수축하면 손이나 발끝과 같은 말단 부위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게 되고 혈액은 우리 몸의 온도를 유지하고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액량이 줄어들면 이러한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 추위는 신경 전달 속도를 느리게 합니다. 신경은 우리 몸의 감각을 뇌로 전달하고, 뇌에서 근육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추위에 노출되면 신경 전달 속도가 느려져 감각이 둔해지고 반응 속도가 느려지는 것입니다.
게다가 추운 환경에서는 세포의 대사율이 감소합니다. 대사율이 감소하면 에너지 생성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근육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힘이 약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손이 차가워지면 손끝 말초혈관에 혈액이 잘공급되지않고 근육이 수축해있어 이완수축반응을 하기 어렵습니다.
손이 굳는다고보면됩니다.
손이 차가워지면 혈관이 수축해 혈액순환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근육과 신경으로 산소와 영양 공급이 감소하면서 감각과 운동 기능이 저하됩니다. 낮은 온도는 신경 신호 전달 속도를 늦추고 근육의 탄성과 관절의 유연성을 감소시켜 움직임이 둔해집니다. 이는 체온 유지를 위해 말초로 가는 혈류를 억제하는 생리적 반응에서 비롯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리 손 관절사이에는 윤활액이 들어있는데 젤형태라 온도가내려가면 점도가 올라갑니다.
또한 근육과인대가 체온손실을 막기위해 수축해있는 상태라 수축이완운동하기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손이 차가워지면, 우리 몸은 체온 유지를 가장 우선 과제로 대응합니다. 몸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부위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손이 차가워지면 움직이기 불편해지는 것은 저체온증의 초기 증상으로, 신체가 저온에 반응하여 혈관을 수축시키고 말초혈관으로 가는 혈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말초혈관인 손가락의 혈류량이 줄어들면 근육과 신경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근육의 기능이 저하되고 신경 전달 속도가 느려집니다. 이로 인해 손의 민첩성이 떨어지고 움직임이 둔해지며 감각이 무뎌지는 것입니다. 또한, 저온에 노출되면 관절의 유연성이 감소하고 근육 경직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더욱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즉, 혈액순환 저하와 근육 및 신경 기능 저하가 손이 차가워졌을 때 움직임이 불편해지는 주된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