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14

위정척사운동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제가 한국사를 공부했을땐 서양의 문물에

반대한 운동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요

이 운동이 특정 교리에 기반한 반대 운동이었나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운동은 1860년대 이후 이항로, 기정진 등 보수적인 유학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반침략·반외세의 정치사상으로, 성리학적 세계관과 지배체제를 강화하여 일본과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응하려고 했던 사상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적 가치관괴 문화를 기반으로 한 것이 위정척사운동입니다. 정을 지키고 사를 배척한다는 것인데 크게 보아 우리문화와 우리정체성을 지키고 서양 것을 배척한다는 것입니다. 교리나 지령은 없고 당시 서양열강의 침입 속에 자연스럽게 일어난 것입니다. 이 운동은 후에 의병운동으로 이어지고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무장독립투쟁으로 연결됩니다. 그 반대되는 지점에는 애국계몽운동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운동은 올바른 것(유교 즉 성리학)은 지키고 사악한 것(천주교와 서양문물)은 배척한다는 사상으로 성리학에 바탕을 두고 서양사상을 배척한 사상입니다. 최익현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후에 의병활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