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사 보증보험 의무가입 세입자는?
저는 세입자이고, 곧 이사할 집 주인분은 최근 임대사업자로 변경하신 뒤 보증보험에 가입하신다고 들은 상황입니다. 궁금한 것 밑에 남거 놓겠습니다.
1. 집주인이 보증보험 가입하면 저는 따로 가입 안해도 되는걸까요?
2. 가입을 따로 해야한다면 중기청 전세대출 받은 후 HF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나요?
3. 집주인이 보증보험을 가입했는지 여부를 제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4. 공시가액은 3억 5천으로 나오고 선순위 10억, 융자는 없습니다. 건물은 사당이에요 처음에 허그 보증 조건으로 계약했는데 은행에서 안된다고 들은 뒤 부동산에 말씀드렸더니 공시가액은 세금 책정용이라 신경 안써도 된다 이 말씀만 반복하시네요•••
진짜 신경 안써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ㅠㅠ
내일 대출 받으러 가는데 저는 입사한 지 얼마되지 않아 HF전세보증대출로 진행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버팀목이나 중기청으로 하려하는데 보증보험에 따로 가입할 수 있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잔금일이 일주일도 안남아서 너무 불안해서요ㅜㅜ
임대 사업자가 가입하는 보증보험은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하는 경우,
보증보험 회사가 대신하여 보증금을 반환하는 제도입니다.
1. 임대 사업자가 보증보험에 가입하면, 해당 주택에 거주하는 임차인은 따로 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중기청 전세 대출을 받은 후 HF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3. HUG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임대 사업자의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증보험 가입 여부는 주택의 공시가격, 선순위 채권 금액, 부채비율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세금 책정용 공시가격은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버팀목 전세 대출이나 중기청 전세 대출을 받은 경우, 보증보험에 따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잔금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집주인에게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대출을 받기 전에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