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서노씨
서노씨

무선충전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무선충전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원리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다면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도 기술적으로 어렵지않고 보편화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전자기력 변환을통해 가능합니다.

      코일형태의 전선에서는 자기력이 발생하는데 자기력은 도선의 영향없이 에너지 전달이 가능한 무선의 형태입니다.

      이러한자기장은 에너지를 받고자하는 장치 내부의 코일회로에 전기력을 만들어주게되어 충전이 가능해게해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무선충전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도로에 정지선에 정차하였을 때 무선충전이 되는 도로 같은 기술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 충전 기술의 기본 원리는 '공진 공명'(resonance) 혹은 '전자기장 인덕션'입니다.

      공진 공명 방식은 발전기층과 수신기층 사이에 공진 회로를 형성하여, 주파수가 일치할 때 전력이 무선으로 전송되는 방식입니다. 수신기층은 전기에너지를 받아 전기에너지를 직류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합니다.

      전자기장 인덕션 방식은 발전기층과 수신기층 사이에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발전기층에서 전기를 생성하여 전자기장을 만들어 내고, 수신기층에서 전자기장을 수신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합니다.

      무선 충전 기술은 단순한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전 효율, 충전 속도, 안전성, 전파 간섭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무선 충전을 위해서는 차량과 충전 시설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이것이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무선 충전 기술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아직 보편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기존의 충전 방식(유선 충전)이 이미 충분히 발전되어 있어서도 그렇지만, 무선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 효율, 충전 속도, 안전성 등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동방식으로 충전이이루어 집니다. 무선충전기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이 있고 스마트기기에는 유도 전류를 수신하기 위한 코일이 있는데요. 두 코일이 접합하면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그 자기장을 스마트 기기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 기키고 이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내장 배터리가 충전 된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 충전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기술입니다. 무선 충전은 전원을 받을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 기술은 무선 전기 전송이라고도 하며, 인덕션 충전이라는 다른 형태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은 전기 에너지를 보내는 측과 에너지를 받는 측 사이에 간격이 있을 때 작동합니다. 보내는 측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코일로 구성된 송신기를 사용합니다. 이 코일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자기장으로 변환되어 공간을 통해 전달됩니다.

      받는 측은 에너지를 받는 코일로 구성된 수신기를 사용합니다. 이 코일은 송신기에서 전달된 자기장을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저장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자기장의 변화량이 전류로 바뀌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코일을 이용해서 만들수가 있는데 효율이 아직까지는 높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많이 쓰이지만 전반적으로 못쓰는 곳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에는 무선 충전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이죠.

      1차 코일과 2차코일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기유도 현상으로 무선 충전을 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술로 거리가 짧지만 고속 충전이 가능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기술입니다. 기본적으로 무선충전은 전기 에너지를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전송한 후, 수신 측에서 다시 전자기파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중 하나는 인덕티브 결합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충전기와 핸드폰 사이에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전기 에너지를 전송합니다. 충전기에는 전기를 흘려 보내는 코일이 있고, 핸드폰에도 코일이 있습니다. 충전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전자기장이 핸드폰 코일에 전기 에너지를 전송합니다. 핸드폰 코일은 전기 에너지를 받아 충전됩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라디오 파장을 이용하는 라디오패스(Power by Radio Frequency, RF) 방식과, 전자파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충전(Resonant Charging) 방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더욱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더 빠르고 효율적인 무선충전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무선 충전은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기술입니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은 전자기장을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전송합니다.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장치인 송신기와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장치인 수신기가 있습니다.

      무선 충전에서 사용되는 주요 원리 중 하나는 인덕션(유도)입니다. 송신기에서 전류가 흐르면, 주위의 전자기장이 변화합니다. 이전자기장은 수신기에서 에너지를 수집하는 데 사용됩니다. 수신기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내부에서 변환하여 전기 충전 장치에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합니다.

      무선 충전은 주로 전자제품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휴대폰, 스마트 워치, 노트북 등이 대표적인 무선 충전 기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자기 유도방식과 공진유도방식이 있습니다.

      자기 유도방식은 1차 코일에 전류의 변화가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2차 코일에 역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공진 유도방식은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해,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코일에 자기장을 유도하는 과정을 거쳐 전력을 전송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현재까진 2가지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기공진 방식과 자기유도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전력을 코일에 흘려서 전기를 전송하는 원리입니다.

      먼저 자기유도 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무선충전 방식입니다. 코일에 전류를 감아서 강력한 전자기장을 만든 후 여기에 똑같은 주파수로 만든 코일을 그 위에 겹칩니다. 그렇게 되면 자력이 그대로 유도되어 이를 풀어 전기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 방식은 전기의 손실이 적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아주 가까이 붙어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두번째는 자기공명 방식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충전매트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점인데, 코일을 통해 전류가 전자기로 바뀌는 것은 자기유도 방식과 비슷하지만 이를 공진 주파수에 실어 멀리 보낸다는 점이 다른 점입니다. 멀리라고 해봐야 1~2미터에 불과하겠지만 직접 접촉을 안 해도 되어 편리합니다. 다만 상용화가 쉽지 않습니다. 공진과정에서 전력의 손실이 매우 크기 때문에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기존 충전량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공진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변전자기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