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선물가격이 결정되는 방식이 자산마다 어떻게 다른가요?

투자자산과 소비자산의 선물가격은 결정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가격이 결정되는지 각각의 자산을 예시를 들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선물가격은 기초자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1. 투자자산

    투자자산은 주식, 채권, 금과 같이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입니다. 투자자산의 선물가격은 현물가격, 이자율, 배당금, 보유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현물가격: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초자산의 가격입니다. 선물가격은 기본적으로 현물가격을 기반으로 하지만, 미래 시점의 가격을 예상하여 결정되므로 현물가격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자율: 투자자는 선물 계약을 통해 미래 시점에 자산을 매수할 권리를 갖게 되므로, 그 기간 동안 발생하는 이자 수익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자율이 높을수록 선물가격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배당금: 주식과 같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자산의 경우, 선물 만기일까지 예상되는 배당금을 고려하여 선물가격이 결정됩니다. 배당금이 높을수록 선물가격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유비용: 금과 같이 실물 자산을 보유하는 경우, 창고 보관료, 보험료 등 보유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보유비용은 선물가격에 반영되어, 보유비용이 높을수록 선물가격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시: 주식 선물

    삼성전자 주식의 현재 가격 (현물가격)이 70,000원이고, 3개월 후 만기되는 선물 계약의 이자율이 2%라고 가정합니다.

    이 경우, 선물가격은 70,000원 + (70,000원 x 2% x 3/12) = 70,350원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만약 삼성전자가 3개월 후에 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라면, 선물가격은 70,350원 - 1,000원 = 69,350원으로 조정될 수 있습니다.

    2. 소비자산

    소비자산은 석유, 농산물과 같이 소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산입니다. 소비자산의 선물가격은 현물가격, 보관비용, 편의수익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현물가격: 투자자산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초자산의 가격입니다.

    보관비용: 석유, 곡물 등 실물 자산을 보관하는 데에는 창고 보관료, 관리비 등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보관비용이 높을수록 선물가격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편의수익: 소비자산은 실물을 직접 보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편의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유회사는 원유를 직접 보유해야 필요할 때 즉시 생산에 투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의수익은 선물가격에 반영되어, 편의수익이 높을수록 선물가격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시: 원유 선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 (WTI)의 현재 가격 (현물가격)이 배럴당 80달러이고, 6개월 후 만기되는 선물 계약의 보관비용이 배럴당 2달러라고 가정합니다.

    이 경우, 선물가격은 80달러 + 2달러 = 82달러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만약 정유회사가 원유를 직접 보유함으로써 얻는 편의수익이 배럴당 1달러라면, 선물가격은 82달러 - 1달러 = 81달러로 조정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