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용재총화는 무슨 서적인가요????

안녕하세요.

옛날 한국사에 있었던 '용재총화'라는 서적은 무슨 내용을 다루었나요?

그리고 용재총화가 있던 시절 시대상황은 어떠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중기에 성현(成俔)이 지은 필기잡록류(筆記雜錄類)에 속하는 책입니다.

    10권. 1525년(중종 20) 경주에서 간행되어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전해 오던 것이,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간행한 ≪대동야승 大東野乘≫에 채록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성현은 예문관·성균관의 최고 관직을 역임한 학자·관료로서 폭넓은 학식과 관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이 책을 정리하였다.

    그 내용은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 형성, 변화된 민간 풍속이나 문물 제도·문화·역사·지리·학문·종교·문학·음악·서화 등 문화 전반에 걸쳐 다루고 있어, 당시의 문화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각 권은 편차(編差) 없이 서술되어 있으며, 권별의 구분도 내용과는 무관하다.

    이 책은 제일 먼저 우리 나라의 유학에 관하여 논하여, 정몽주(鄭夢周)·권근(權近)·윤상(尹祥) 등 경학(經學)의 대가들이나 최치원(崔致遠)·정지상(鄭知常) 등 신라와 고려의 명현(名賢)과 서거정(徐居正)·성임(成任) 등 조선 초기의 문인들의 학문적 특성과 문장가로서의 성격을 풀이하고 있다.

    한편, 필법(筆法)에 대하여도 언급하여 김생(金生)·이암(李嵒)·이용(李瑢)·강희안(姜希顔) 등의 특징을 이야기하며, 고려의 공민왕으로부터 조선 안견(安堅)의 산수화에 이르기까지, 또 최경(崔涇)의 인물화에 대하여도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음악에 대해서는 신라의 현금(玄琴)이나 금관국(金官國)의 가야금 및 송태평(宋太平)·도선길(都善吉) 같은 악공에 대하여, 그 밖에 기생 상림춘(上林春)의 기교에 대하여도 서술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각 도읍의 형세와 백운동(白雲洞)·청학동(靑鶴洞) 등 한양 명승지와 그 밖에 성밖의 명승지를 언급하고 있다. 풍속에 있어서는 잔치 음식의 가짓수와 맛의 특징 등을, 그 밖에 혼례 풍습·나례(儺禮)·처용무(處容舞)·관화(觀火) 등의 절차를 설명하고 있어 귀중한 민속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중국 사신의 접대에 따르는 의식 절차, 사신들에 대한 인물평, 과거제도에 대한 것과 성균관의 제도, 제사 풍습, 불교와 승려에 대한 이야기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야기의 대상으로 삼은 인물 설정에 있어서는 왕세가(王世家)와 양반 관료는 물론이고, 유학자·서화가·음악인·문인 또는 당시 사회에서 천대받던 과부나 중·복서(卜筮)·기생, 심지어 탕녀(蕩女)들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유명인들의 일화나 해학담(諧謔譚), 일반 대중이나 천인들의 소화(笑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화를 담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특히 민속학이나 구비문학 연구의 자료로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재총화 [慵齋叢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누리함
    누리함23.05.30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25년(중종 20) 경주에서 간행되어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전해 오던 것이,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간행한 『대동야승(大東野乘)』에 채록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성현은 예문관 · 성균관의 최고 관직을 역임한 학자 · 관료로서 폭넓은 학식과 관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이 책을 정리하였습니다.


    그 내용은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 형성, 변화된 민간 풍속이나 문물 제도 · 문화 · 역사 · 지리 · 학문 · 종교 · 문학 · 음악 · 서화 등 문화 전반에 걸쳐 다루고 있어, 당시의 문화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각 권은 편차(編差) 없이 서술되어 있으며, 권별의 구분도 내용과는 무관합니다.


    이 책은 제일 먼저 우리 나라의 유학에 관하여 논하여, 정몽주(鄭夢周) · 권근(權近) · 윤상(尹祥) 등 경학(經學)의 대가들이나 최치원(崔致遠) · 정지상(鄭知常) 등 신라와 고려의 명현(名賢)과 서거정(徐居正) · 성임(成任) 등 조선 초기의 문인들의 학문적 특성과 문장가로서의 성격을 풀이하고 있습니다.


    한편, 필법(筆法)에 대하여도 언급하여 김생(金生) · 이암(李嵒) · 이용(李瑢) · 강희안(姜希顔) 등의 특징을 이야기하며, 고려의 공민왕으로부터 조선 안견(安堅)의 산수화에 이르기까지, 또 최경(崔涇)의 인물화에 대하여도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음악에 대해서는 신라의 현금(玄琴)이나 금관국(金官國)의 가야금 및 송태평(宋太平) · 도선길(都善吉) 같은 악공에 대하여, 그 밖에 기생 상림춘(上林春)의 기교에 대하여도 서술하고 있습니다.


    지리적으로는 각 도읍의 형세와 백운동(白雲洞) · 청학동(靑鶴洞) 등 한양 명승지와 그 밖에 성밖의 명승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풍속에 있어서는 잔치 음식의 가짓수와 맛의 특징 등을, 그 밖에 혼례 풍습 · 나례(儺禮)· 처용무(處容舞) · 관화(觀火) 등의 절차를 설명하고 있어 귀중한 민속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중국 사신의 접대에 따르는 의식 절차, 사신들에 대한 인물평, 과거제도에 대한 것과 성균관의 제도, 제사 풍습, 불교와 승려에 대한 이야기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이야기의 대상으로 삼은 인물 설정에 있어서는 왕세가(王世家)와 양반 관료는 물론이고, 유학자 · 서화가 · 음악인 · 문인 또는 당시 사회에서 천대받던 과부나 중 · 복서(卜筮) · 기생, 심지어 탕녀(蕩女)들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유명인들의 일화나 해학담(諧謔譚), 일반 대중이나 천인들의 소화(笑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화를 담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특히 민속학이나 구비문학 연구의 자료로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용재총화란 조선전기 학자 성현이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의

    민간의 풍속과 문물 제도 그리고 문화 역사 지리 등 거의 조선 문화 대부분을 다룬 서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전기 학자 성현이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의 민간 풍속·문물 제도·문화·역사·지리 등 문화 전반을 다룬 잡다한 기록물 입니다. 1525년(중종 20) 경주에서 간행되어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전해 오던 것이,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간행한 『대동야승(大東野乘)』에 채록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의 유학, 필법(筆法), 지리, 풍속에 있어서는 잔치 음식의 가짓수와 맛의 특징 등을, 그 밖에 혼례 풍습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기록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용재총화는 조선 성종 때의 학자 성현이 지은 수필집이다. 시·서예·문장·야담, 그 밖의 사화·인물 이야기 등이 실려 있으며, 모두 3권 3책임. 특히 그 중에 상좌가 스님을 속인 이야기 등은 저명한 야담이다.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