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기러기오디오
기러기오디오

셰익스피어 비극이 현대 경영학이나 리더십 연구에서 인용되고 있는 이유는?

안녕하십니까.

셰익스피어 비극에 관하여, 문학 작품이지만 경영학적 사례로 쓰입니다. 셰익스피어 비극이 리더십에 주는 교훈에 대해서 전문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4대 비극에 나오는 리더들의 캐릭터를 통해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 리더의 인간적 결함에 따른 실패와 극복을 배울 수 있습니다.

    1. 오셀로는 전쟁영웅이었으나 귀가 얇아 이간질에 넘어가 아내를 죽이고 자신도 목숨을 끊은 이야기를 통해 리더는 신중해야 함을 강조

    2. 햄릿은 광대 요릭의 해골을 보며 알렉산더 대왕도 결국 흙 속에서는 저런 몰골이지 않냐는 이야기를 통해 리더도 결국에는 평범한 삶을 사는 것이니 항상 성찰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

    3. 맥베스에서 마녀의 예언을 듣고 던컨 왕을 살해한 뒤 죄의식 때문에 계속 손을 씻는 맥베스 부인의 행동에서 헛된 욕심이 화를 부른다는 것을 강조

    추가적으로 베니스의 상인에서는 주인공 포샤가 결혼 상대를 고르는 장면에서 '반짝인다고 다 금은 아니다'라고 말하며 리더는 사람을 대할 때 겉만 보고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을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교육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이 현대 경영학이나 리더십 연구에서 인용되는 이유는 인간 본성과 권력, 갈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욕망, 배신, 의사결정의 딜레마를 작품 속에서 사실적으로 그려내며 이 요소들은 사람을 이끌로 조직을 운영하는 리더십 연구에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예를 들어 '멕베스'에서는 권력에 대한 과도한 욕망이 어떻게 개인과 집단을 파멸로 이끄는지를 보여주며, 리더가 지켜야 할 도덕적 경계에 대해 성찰하게 합니다. 또 '리어 왕'은 권위를 남용하고 소통에 실패한 지도자의 몰락을 통해 나쁜 리더십의 전형으로 보여주고, '헨리 5세'는 위기 속에서 구성원을 단결시키는 전략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을 보여줍니다. '줄리우스 시저'는 권력 교체와 조직 내 정치적 갈등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보여주며 현대 조직의 구조와 갈등 관리 문제를 생각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이 리더십 교육에서 자주 인용되는 이유는 그의 비극들이 리더십에 관한 중요한 교훈을 담고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교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리어왕」에서 리어왕은 그의 교만한 성격으로 인해, 자신의 판단만을 신뢰하고 다양한 의견 수용에 실패하여 국가와 가족 모두를 파멸로 이끕니다. 이는 리더가 독선적이거나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조직이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이이 같은 맥락으로, 셰익스피어의 비극에 둥장하는 리더들은 대개 타협을 하지 않고, 소통하지 못하는 성격으로 말미암아 위기를 맞습니다. 조직이나 기업에서도 리더가 자신의 생각만 주장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듣지 않는 경우, 여러 갈등으로 인해 조직 전체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또한, 「맥베스」에서 맥베스는 책임감과 도덕적 성찰의 부재로 몰락하게 됩니다. 도덕적 책임과 공동체를 위하는 리더십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나타내는 대표적 작품 내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셀로」에서 오셀로는 사생활과 공적 영역의 균형이 무너질 때,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리더는 사적인 행동도 공적인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반드시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현대의 실제 경영 현장에서는 변화에 대한 민감성, 기민한 대응, 위기 관리 능력이 필수적인 자질입니다. 햄릿이나 리어왕 등은 예상치 못한 변화와 위기의 상황 속에서 주체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비극적 운명을 맞이합니다. 그들의 대응 능력 부족이 초래한 비극들은 현대의 경영인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할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경영학쪽 전공분야에서 세익스피어가 적극 활용된다면 이것은 이익집단 및 그룹분야에서 최고의 효율을 올리는 한 방식에 관하여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겠습니다.

    • 왜냐하면, 결국 어떤 회사나 이익집단의 경우 최고급 정보를 수집하여 최종적 의사결정을 잘 조율하고 실행하는 Planning permance group 혹은 department가 핵심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대부분의 고급결정은 결국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고 여기서 심각한 오류 혹은 경영적 사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같은 집단 내의 인간적 상호이해와 그룹의 원활한 소통적 리더쉽이 필수라는 것입니다.

    • 그렇다면 이런 그룹의 리더들은 누구보다도 팀원들의 사기진작 및 화합적 통합과정을 잘 조율할수 있어야하며 이를 위하여 인간의 희노애락이라는 기본 감정요소의 모든 면이 녹아있는 세익스피어의 비극을 비롯한 모든 작품들을 연구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