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무역 K‑뷰티 관세까지 오르면 온라인 수출 전략 바꿔야 할까요

미국이 K‑뷰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서 저처럼 이커머스 중심 무역 실무자는 가격 전략이나 상품 구성을 어떻게 수정하는 게 나을지 고민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일단 관세부과로 인하여 여러 업계들이 혼란을 겪고 있으며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이커머스에 대하여 미국내 수입통관 후 판매 혹은 해외직구방식의 판매 중 메리트가 있는 방식을 고르시길 바랍니다. 대표적으로 관세, 운임, 보관료 등이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K 뷰티에 추가 관세가 붙으면 온라인 수출 구조에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면 단순히 판매가를 올리기보다 세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고가 라인업보다는 소비자가 가격 대비 품질을 체감할 수 있는 중저가 제품에 집중하는 방식이 현실적일 수 있습니다. 물류비와 패키징 비용을 줄이는 것도 마진 방어에 중요합니다. 또 현지 창고를 활용해 직배송보다 빠른 서비스로 차별화하면 소비자가 가격 외적인 가치로 선택할 여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케팅 측면에선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하기보다 합리적 소비와 가성비를 전면에 내세우는 편이 낫습니다. 관세로 생긴 부담을 소비자에게만 전가하지 않고 브랜드가 어떻게 흡수하느냐가 핵심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케이뷰티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에 상호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커머스 수출시에는 소액물품면세 적용이 어려워질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어느정도의 가격상승이 불가피하며, 일단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브랜드가치와 마케팅 전략을 더 집중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