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 환자가 코로나 걸리면 치료가 어떻게 될까요?
이식 받은지 10개월 되었습니다.
혹시나 코로나가 걸리게 되면
치료를 어떻게 받게 되나요??
지금 정부에서는 재택치료를 하고 있는데,
기저질환 있는 저희는 너무 무섭네요,,
어떻게 치료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현재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으나, 기본적으로는 특별하게 처방이 달라지거나 하지 않고 대증치료가 기본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되 걸리지 않도록 항상 마스크 착용, 손씻기 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현재 위드코로나 정책중 재택치료는 70세미만의 무증상 경증환자가 자가주택(고시원 공유하우스제외)등에 거주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통해 비대면으로 자가 증상을 보고하며 경과관찰하는 방식입니다. 증상자는 기존대로 생활치료센터 중증시 전담병원으로 입원해 치료를 받게됩니다.
증상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확진자로 판정되더라도 코로나19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폐렴의 항생제 같은 약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무증상 혹은 경증일 경우 특별한 치료제를 복용하거나 입원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의식혼탁, 고열의 지속, 호흡 곤란등의 징후가 보이거나 고위험군일 경우 입원이 필요할 수 있으나 코로나19 병상이 충분치 않은 관계로 해당 보건소나 병원의 지침에 따라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저질환자라도 특별히 증상이 없을 경우 입원 후 원내 감염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입원하시는 것이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코로나 확진시에 반드시 보건소에 기저질환을 알리고 주치의와의 상의하에 코로나 치료를 진행해야 하며 중증 진행시에는 병원으로 이송받아 치료가 필요로 됩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코로나19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증상치료입니다. 감기와 비슷한 것이죠. 대부분이 경한 증상이며 그럴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집에서 쉬시면서 자연치유가 대부분의 경우에 해당되며 폐렴으로 진행되어 중증이 된다면 병원치료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고령자를 제외한 성인 코로나 확진자의 경우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경증환자이기에 정부는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하고 중증상이 있을 경우 입원치료를 진행합니다.
주거환경이 감염에 취약하지 않으며(고시원, 쉐어하우스 등) 입원 요인이 없는 70세 미만 무증상 혹은 경증 확진자의 경우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합니다.
백혈병환자의 경우 면역저하자로서 입원치료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현재 백혈병이 있어서 이식치료를 받고 있다고 하더라도 백신을 접종했다면 감염 후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2. 그래서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이면 감기약 정도 처방받아 드실 수 있고, 증상이 심하거나 호흡곤란 증상 있으면 입원해서 산소치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현재로써는확진인 경우 7일간 자가격리를 하면서 재택치료를 하게 되며 재택치료시에 증상에 따른 약을 복용하나 기저질환자인 경우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여 추가 조치를 받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기저질환이 있으신 경우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확진 시 재택치료 중 집중관리 대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관할 보건소나 병원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