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도롱이
도롱이

비염이 오면 눈도 같이 가려운데, 비염약 말고 뭘 더 먹어야 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27

알레르기성 비염이 가끔 오고, 약을 막으면 차도가 나아져 가끔 먹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비염과 함께 동시에 눈이 가려운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따갑거나 상처가 났다기보다는 말 그대로 가려워요.

비염약만 먹어도 충분한지, 아니면 비염약 말고 다른 약을 더 먹어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혜림 약사입니다.

    적어주신 증상은 알레르기 비염과 연관된 증상으로 증상 조절을 위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보시고 눈 가려움증이 지속된다면 안과 진료가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태웅 약사입니다.

    비염과함께 알레르기 결막염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비염약에따라 항히스티민제를 추가복용하실 수 있으며 알레르기안약을 점안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비염약을 먹어도 눈이 가렵다면 항히스타민제가 들어있는 안약을 넣으세요.

    먹는 약, 안약을 같이 쓰면 더 효과적입니다.

    답변이 도움됐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비염약을 복용해도 눈 가려움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알러지성 결막염에 쓰는 안약을 같이 사용하세요.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 부탁드립니다. 답변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은혜 약사입니다.

    알러지약을 드시면서 알러지안약도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알러지 안약은 약국에서 쉽게 구매가능하십니다.

  •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말씀하시는 알러지성 증상은 비염 뿐만이 아니라 눈 건조, 충혈 및 가려움까지 같이 나타날 수는 있습니다. 복용하시는 비염약은 이러한 알러지성 반응 자체를 차단하는 형태이기에, 현재 복용하시는 약만으로 눈 증상도 완화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선택 약사입니다.

    비염약 어떤걸로 쓰시는지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보통 비염약 처방할 때 항히스타민제도 같이 처방되는데 이것이 눈의 가려움도 완화시킬 수 있어 따로약이 필요없습니다. 만약 그래도 심하다면 눈에 넣는 안약 중에 충혈제거와 가려움 완화시킬 수 있는 약도 있습미다(약국 구매 가능)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비염약만 복용하셔도 보통 충분하지만 눈의 가려움이 심할 때는 알러지 안약을 같이 쓰시는게 더 효과적이긴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눈이 따갑고 간지러우시면 알레르기 항히스타민안약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약국에서도 그냥 사실 수 있으니 고려해보시기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욱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약료 게시판에 문의해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아마 비염약으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실 것으로 예상되는데,

    항히스타민제는 비염 뿐 아니라 눈의 가려운 증상을 완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먹는 약 이외에 눈의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안약들도 있으며,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쉽게 구입하실 수 있으므로

    먹는약만으로 효과가 부족하신 경우에는 가까운 약국을 방문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비염약으로 어떤 것을 복용중인지에 따라 추가 복용하면 좋겠습니다.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추가해서 복용해 보시고 이미 드시는 것이 있다면 다른 성분을 추가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상일 약사입니다.

    알러지증상으로 비염과 더불어 눈이 가려운 증상이 나타날수있습니다

    눈에 넣는 외용제, 한방약 등도 같이 사용하시면 해당증상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감사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비염 등의 알레르기 증상에는 항히스타민제를 주로 사용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전반적인 염증 및 가려움 반응과 점액질의 분비를 억제하므로 비염과 알레르기성 결막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