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예보는 왜이렇게 잘안맞는건가요?
우리나라 일기예보 적중 하는 퍼센티지가 40정도라고 들었습니다. 과학적으로 분석할거같은대
일기예보에는 왜이렇게 변동성이 많게 되는건지 맞추기힘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 데이타를 이용하여 슈퍼컴퓨터에서 분석하여 나오는 것으로 압니다.
예측하고자 하는 지역의 여러기압, 해수면온도, 구름의 형태, 대기의 온도와 바람의 방향, 해류의 방향,지구의 태양공전 위치등 여러가지를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압니다. 수시로 변하는 자연현상을 정확히 맞추기란 매우 힘듭니다. 하여 정확한 일기예보는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등으로 인해 국소적인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돌발적인 상황이 많아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너무나 많은 변수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 지역에 비가 언제쯤 내릴지를 예측하는 것은 너무나도 어려운 일입니다. 때문에 나라에 제일 비싼 컴퓨터는 기상청에 있죠.
날씨라는 것이 맞추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너무나 많은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슈퍼컴퓨터로도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날씨와 관련된 내용 중 나비 효과란 것이 있습니다.
나비가 날개를 한번 펄럭이면 지구 반대편에 태풍이 칠 수도 있는데,
날씨가 얼마나 예측하는 것이 어려운 것인지 잘 얘기해주는 문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