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일단영특한아메리카노
일단영특한아메리카노

물에 칼슘과 마그네슘 농도가 진하면 쓴 맛이 나는 이유가 뭔가요?

학교 수행평가로 물 맛의 영향을 주는 것들을 주제로 글을 쓰고 있는데 자료를 찾아보니 물에 칼슘과 마그네슘 농도가 진하면 쓴맛이나고 적으면 단맛이 난다고 하던데 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은 금속 이온으로 농도가 높아지면 물의 맛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마그네슘 이온이 다량으로 존재하면 쓴맛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데 이는 마그네슘의 화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마그네슘은 쓴맛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반대로 칼슘과 마그네슘이 적은 경우 물은 상대적으로 순수한 상태에 더 가까워지며 쓴맛이나 다른 강한 맛이 적어지고 가볍고 청량한 단맛을 느끼게 됩니다. 단맛 자체는 물속의 다른 불순물이 적을 때 나타나는 특성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칼슘과 마그네슘 자체의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칼슘은 실제로 농축된 가루를 드셔보셨을 텐데 비타민 C 에 칼슘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유의 신맛을 느끼셨을거라 생각합니다. 그것이 칼슘의 맛 입니다.

    마그네슘의 맛은 음식에서 느끼기가 어려운데 견과류에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약간 떫은 맛 인데 이것이 미네랄 이란 이름으로 물에 물과 마그네슘이 녹아있어서 생수에서도 특유의 맛이 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