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비전공자 기준으로 전기산업기사 취득하기 어려운가요?
문과 비전공자입니다.
경력인정으로 산업기사부터 따보려고 하는데요
질문1. 일단 직장인인 기준에서 전기산업기사부터 도전하려고 하는데 6개월 가지고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일까요?
질문2. 수학이 많이 필요하다면 기초부터 할 생각이 있는데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와 난이도가 많이 차이가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 드립니다.
질문1. 일단 직장인인 기준에서 전기산업기사부터 도전하려고 하는데 6개월 가지고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일까요?
>> 6개월 동안 꾸준히 2~3시간 가량 투자해서 공부하신다면 합격 가능할거라고 봅니다. 이론 강의는 한번 쭉 들으시고 그 이후 부터는 기출문제를 여러번 보시면서 풀어보시면 합격 가능합니다. 필기와 실기 모두 이론 강의는 한번 들어 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질문2. 수학이 많이 필요하다면 기초부터 할 생각이 있는데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와 난이도가 많이 차이가 날까요?
>> 수학적인 지식이 필요한건 맞는 말이지만 대부분 공학계산기를 이용하면 풀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깊은 수학적인 지식까지는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전기기사와 산업기사 난이도는 차이가 좀 있기는 하지만 아직 기초가 없다면 산업기사 부터 도전해 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종합적으로보면 기출은 거의 60프로가 나옵니다 기사던 산업기사던 상관없고 실제 취득효과도 비슷합니다
6개월로 취득하는사람도 있고요 수학은 버리면 됩니다 60점이상이기 때문이죠
자기학과 회로이론에 나오는 공식은 외우고 풀어야하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기산업기사는 문과 비전공자에게 도전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직장인이 6개월 동안 준비할 경우 충분히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습 시간과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니 꾸준한 계획이 중요합니다. 문제의 난이도는 기초적인 전기 지식을 요구하며, 전기기사보다는 난이도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학은 기본적인 수준의 이해가 필요하니 기초를 다지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기사보다는 수학이 덜 요구되지만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계획적으로 시간을 활용하면 전기산업기사 취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