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기후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태풍 플라센이 갑자기 경로를 바꾸면서 하루종일 경남지방에는 집중호우가 내리고 있는데요.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주요원인은 무엇이며 기후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풍으로 인해 호우가 생기는 것은 예년에도 있었지만, 최근에 여러부분에서 일반적인 한국의 기후와 달라지는 부분이 많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9월까지 이렇게 폭염이 지속된 적도 별로 없었고 비가 오는 양상이나 기온등에서 앞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집중호우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인데 수증기는 비를 만들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을수록 구름이 생성되고, 비가 내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바다나 강, 호수 등의 물이 증발하여 대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데, 대기 중의 수증기가 많으면 많을수록 강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저기압은 대기 중에서 공기가 상승하는 현상을 유발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가 차가워지면서 응결되고 비가 내립니다. 특히, 저기압이 강하거나 정체되면 특정 지역에 오랜 시간 동안 많은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전선은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는 경계선으로, 이 경계에서는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해 비구름이 형성됩니다. 전선이 느리게 움직이거나 정체되면 그 지역에 집중호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형도 집중호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산악 지대에서는 바람이 산을 타고 상승하면서 공기가 차가워지고, 이로 인해 비구름이 더 쉽게 형성됩니다. 또한 해안가나 대도시 등 특정 지역에서 기압 변화와 지형이 결합되면서 집중호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