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질없는 달걀이 어떻게 만들수 있는건가요
최근 달걀중에서 껍질이 없는 달걀도 만든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이 껍질없이 달걀을 어떻게 만들수가 있는것인지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껍질을 까는것이 귀찮은 사람들을 위한 제품인데, 계란을 가공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한 용기에담아 밀봉하여 파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껍질은 외부와 차단되어 이물질이나 병원체유입을 막인주는 역할을합니다.
이를대신할 멸균된용기안에 노른자와 흰자를 넣고 공기가통하도록 잘 봉인한뒤 인큐베이터에 넣으면 껍질이 있던것과 동일하게 병아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냥 시중에파는 껍질없는계란을 말씀하시는거라면
계란을 깨어 멸균된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파는 제품입니다.
현재 기술로는 닭이 자연스럽게 껍질 없는 달걀을 낳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닭의 생리적인 구조상 껍질을 형성하는 과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이죠.
그래도 현재 껍질 없는 달걀을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닭이 낳은 달걀의 껍질을 제거하고, 인공적인 막으로 코팅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생산 비용이 높고, 자연스러운 달걀의 식감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닭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껍질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윤리적인 문제와 함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껍질 없는 달걀을 대량 생산하고 상용화하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과 윤리적인 문제 등으로 현재로서는 어렵습니다.
혹시 실험실에서 식초로 만드는 것을 말씀하신다면..
식초가 달걀껍질의 탄산칼슘과 반응하여 껍질이 녹는 것입니다.
껍질 없는 달걀은 일반적으로 산(acid) 처리를 통해 만듭니다. 달걀을 식초나 아세트산 용액에 담그면, 껍질의 주요 성분인 탄산칼슘이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서 껍질이 서서히 녹아 없어집니다. 이렇게 껍질이 녹아도 달걀막이 남아 있기 때문에 알끈과 노른자가 그대로 유지되며, 겉으로 보기에 투명한 껍질 없는 달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