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상상 속 친구를 만들었다면 이런 모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친한 지인 딸이가 최근부터 '보이지 않는 친구'와 대화를 하고 식사할 때도 그 친구 몫의 접시를 달라고 하고, 잠잘 때도 옆에 눕혀달라고 한다네요. 이런 행동이 과연 정상적인 걸까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상상속의 친구와 이야기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발달과정중의 하나입니다. 상상속의 친구와 이야기를 하는 것은 창의력과 상상력에 도움이 될수 있으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수 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아이가 상상속의 친구와 이야기를 할때 관심을 갖고 귀기울여 듣는 것이 좋으며 "그친구는 누구야?, 또는 무슨 이야기 하는 거야? 와 같은 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화를 해보며 아이가 어떤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습니다. 더불어 아이가 만들어낸 상상속의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들어가 함께 놀아주며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모습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아이의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보여주는 징후일 수 있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3-7세 사이에 이런 경험을 하며, 이는 정서적 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상상 속 친구를 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존재를 인정해주되, 지나치게 몰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네 친구 ○○이랑오늘 뭐하고 놀았어?"라고 물어보며 관심을 보이되, 실제로 접시를 하나 더 놓아주거나 하는 행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이러한 상상 속 친구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새로운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아이가 겪고 있는 스트레스나 불안을 해소하는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상상 속 친구에 대해 이야기할 때 주의 깊게 들어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의 내면 세계를 이해하고, 혹시 아이가 겪고 있는 어려움이 있다면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상 속 친구로 인해 실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거부하거나,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담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상상 속 친구를 떠나보내게 됩니다. 상상 속 친구의 존재를 통해 아이의 창의성을 격려하고, 감정 표현을 돕되, 동시에 실제 친구들과의 관계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다른 아이들과 함께 노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주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활동에 참여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보이지 않는 친구와 대화를 하는 놀이는 상상력이 풍부해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제 소견으로는 아이는 대화의 상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상 속의 친구를 만든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아이와 함께 놀이 및 대화를 하는 시간이 부족했다면 아이는 그 외로움과 쓸쓸함을 달래기 위해서 혼자 놀이를 하면서 가족 이외의 상상 속의 친구를 만들어 자신의 감정을 달랠 수 있겠습니다.
제일 먼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와 대화 및 놀이하는 시간을 많이 가져주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아이의 증상이 너무 심각하다면 병원 상담을 통하여 치료를 받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일반적인 행동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으로 실제 친구들과의 관계가 소홀해 지고, 실제 생활에 문제가 생긴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상친구와 함꼐하는 놀이를 격려하세요. 이야기를 만들어 보거나 그림을 그리는 활동은 아이의 창의력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상상 속 친구에 대해 이야기할 때 흥미를 가지며 들어주세요. 그 친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기회로 삼으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상상 속 친구와 노는 것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입니다. 창의력과 사회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세요. 아이와 그 친구에 대해 상상의 세계를 존중하고 필요시 그 친구와의 대화가 어떤 의미인지 물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상 속 친구는 어린이의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아이와 그 친구에 대해 이야기해보세요. 창의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고 필요할 때는 안전하게 현실과 구분하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어리다면 그런 행동은 어린이의 발달과정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특정연령대에 상상력이 풍부하거든요
상상의 친구는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고 사회성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아이가 안전하게 느끼고 자신의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방법일 수 있으므로 이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이 특정한 부정적인 감정이나 스트레스의 반응인지 살펴보세요
아이가 만약 불안하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거라면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