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이 갔던 손가락 관절 회복 후 뻑뻑해짐
이 일이 있었던건 상당히 오래 전이었는데요
대략 4년 전에 제가 왼손 주먹으로 벽을 세게 쳤는데
당연하지만 벽이 깨질 일은 없고 제 손만 아팠습니다
근데 어설픈 자세로 벽을 주먹으로 쳤다 보니 넷째 손가락 관절(손바닥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좀 안좋게 부딪혔는지 그날 하루정도 손가락을 움직이기도 힘들 정도로 아팠습니다
제목에서는 금갔다고는 했는데 사실 병원 안갔어서 금간지 아닌지는 잘 모릅니다
뭐 그래도 다음날 되니까 그래도 그럭저럭 움직일 정도는 되길래 대수롭지 않게 넘겼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별일없어서 잊고 지냈는데
어느날 제 넷째 손가락을 단독으로 움직여보니 손바닥과 연결된 부분의 관절이 잘 움직이지 않고 뻑뻑하고 턱턱 걸리는 느낌이 들더군요
다섯 손가락 전부를 한꺼번에 움직이면 그런 느낌이 없는데 “넷째 손가락만” 움직이려 하니 관절이 턱턱 걸리는 느낌이 들고 잘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손가락을 보니 손가락 위에 있는 힘줄이 손가락을 구부릴 때마다 자꾸 왼쪽으로 치우치는거 같아 보였습니다
이거 왜 이럴까요?
그리고 이거 치료할 수 있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손을 다치시면서 미세한 골절이 발생 하셨고 골절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주변 근육이나 힘줄 인대등 연부조직등의 유착이 발생하면 가동범위에 제한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동범위의 감소로 인해 통증이 발생 할 수 있고, 이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는 경우 가동범위를 늘리기 위한 운동 및 스트레칭 치료를 받으시는게 중요합니다.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수 물리치료사입니다.
손이 다쳤을 당시 충격으로 인해 미세한 골절이 있었다면 골절의 유합 과정에서 주변 근육이나 힘줄 등 연부조직의 유착이나 단축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손목의 가동 범위가 감소하는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근처 정형외과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관절 부상후에 손가락을 움직일때 뻑뻑하고 턱턱거리는 증상이 있다면 힘줄이 손상되면서 염증으로인해서 방아쇠수지등의 질환이생겼을수있는데요 이럴때에는 집에서 관리하기보다는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가까운 정형외과를방문해 전문의와상담후에 본인의상태에맞는 치료를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넷째 손가락의 관절이 뻑뻑하고 턱턱 걸리는 느낌이 드는 것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손가락을 다친 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부상 후 관절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뻑뻑함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힘줄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긴경우 움직일 때 불편함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부상 후 관절의 형태가 변하거나 관절막이 두꺼워져서 움직임이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상후 회복과정에서 조직이 유착되어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실제로 골절이 있었던 경우 뼈가 제대로 치유되지 않았거나 변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문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관절의 가동범위를 늘리고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가벼운 스트레칭과 운동을 통해 관절의 유연성도 개선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심할경우 무리는 하시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넷째 손가락의 관절이 뻑뻑하고 턱턱 걸리는 느낌이 드는 것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먹으로 벽을 친 후에 발생한 증상이라면 관절 손상이나 힘줄, 관절염, 골절 후유증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들은 치료가 가능합니다 전문가와 상담을 하시거나 물리치료 약물 등 여러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네번째 손가락의 움직을 관여하는 근육이나 힘줄이 놀라서 긴장한 부분이 아직 안풀린거같습니다. 벽을 치는 과정에서 네번재손가락을 제어하는 힘줄이나 근육이 긴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단독으로 움직일때 움직임이 좋지 못해보이며, 관련 손가락쪽에 물리치료나 체외충격파 치료를 한다면 호전될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가셔서 엑스레이도 찍고 초음파도 찍어보시고 원인 치료 받아보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타박상으로 인해 뼈에 금이 가고, 회복과정에서 인대나 힘줄의 유연성이 떨어지거나, 관절의 움직임 범위가 감소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각됩니다. 재활을 위해서 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시고 적절한 물리치료나 다른 보존적인 치료를 받아보시거나, 스스로 주먹을 쥐었다 펴는 동작이나 손가락 움직임을 만들 수 있는 재활운동을 꾸준히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외상을 입은 다음 여러가지 이유로 확실한 치료를 받지 못해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치료가 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환자분이 그런지 여부는 검사를 해보아야 알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