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탁주는 어떻게 소비되고 전통적인 술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나요?

탁주는 어떻게 소비되고 전통적인 술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나요? 또, 탁주의 제조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쌀 발효, 가열 및 숙성 단계 등 제조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통주는 크게 탁주와 청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탁주는 곡식을 발효하여 빚은 술의 빛깔이 뿌옇거나 흐린 상태의 술을 의미하는데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막걸리가 여기에 해당되고 청주는 깨끗한 술이란 뜻으로 보통 제사상에 많이 쓰는 정종 같은 술 입니다. 우리의 전통주라 함은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서 만들어진 한국의 술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막걸리, 동동주, 이천쌀주 등이 대표적인 탁주이자 전통주 입니다. 그 제조 방법은 보통 우선 쌀( 1.5KG)을 잘 씻어 고두밥을 지어 잘 식힌 후 산성 누룩 2KG를 물 바날과 ㅏㄹ 혼합하여 섞습니다. 이 혼합되 재료를 뚜껑을 닾지 않고 항아리에 담아 15-20C정도 되는 실내에서 약 5-7일간 발효를 시킨 후 지 재료를 채를 걸러 내면 탁주(토산주)가 됩니다. 기호에 따라 생수를 조금 석어 마실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탁주는 맑은 술을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서 만든 술입니다. 일반적으로 빛깔이 탁하고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입니다. 맑지 못하고 탁하다고 하여 탁주 탁배기 막 거른 술이라 하여 막걸리 빛깔이 희다고 하여 백주 집마다 담근 술이라고 하여 가주 특히 농가에서는 필수적인 술이라 하여 농주라고 합니다. 탁주를 만드는 방법은 쌀 누룩 물 등으로 술밑을 만들어 10일 정도 숙성시킵니다. 지에밥에 같은 양의 물과 반정도의 누룩을 넣고 잘 저어서 20도씨 정도로 5-10일간 보관합니다. 술밑이 숙성하면 항아리에 체를 걸쳐넣고 술밑을 퍼내어 체에 넣고 물을 부으면서 거칠게 거르면 쌀알갱이가 부서져서 뿌옇게 흐린 술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