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아리아나그란데말입니다
아리아나그란데말입니다23.03.09

직장동료 결혼식 처음인데요. 축의금..

직장동료 결혼식은 처음인 사회초년생입니다. 축의금을 얼마를 하면 좋을까요? 3만원..?5만원..? 너무 고민되네요. 사회 선배님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순수한바다표범29입니다. 보통 요즘은 물가가 많이 올라서

    3만원은 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보통 최소 5만원은 하더라구요

    친한 직장 동료는 10만원 정도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도도한뱁새15입니다.

    결혼식에 참석하시면 10만원, 참석안하시면 5만원 정도 하시면 될 거같아요. 회사내에서 얼굴만 아는 정도면 3만원 하셔도 괜찮구요


  • 안녕하세요. 견실한숲제비156입니다.


    초년생으면 적게 내도 다 이해할겁니다.

    결혼식에 안갈경우,

    그 분하고 친하거나 앞으로 자주 봐야할때(얼굴만 보는게 아니라 업무적인 교류가 잦을때)는 5만원 드리고

    친하지 않거나 신세 질 일이 없을때는 3만원만 드려도 돼요.

    글쓴이님이 신입이고 그 분하고 잘 모르는 사이라면 안내도 괜찮은데 정확히 어떤 사이인지는 모르겠네요 ㅠ

    결혼식을 간다면 최소 5만원 추천합니다.

    요즘 식대가 올라서 5만원도 적다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하객들한테 축하해달라고 부르는거지 돈 남겨 먹는 장사하려고 부르는거 아니니까 솔직히 그것까지 하객들이 감수할 일은 아닌 것 같아요. 결혼하는 부부 형편껏 감당해야죠. 너무 부담 느끼지 마세요


  • 안녕하세요. 기발한파리23입니다.


    일단 요즘은 결혼식 참석하면 10만원 아니면 5만원의 추세입니다. 일단 같은 부서고 친해서 결혼식에 간다면 10만원 아니라면 5만원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스마트한왕나비88입니다.친분에 따라 금액이 다르고 식장에 따라 다르죠~~보통은 5만원정도하는데요 만약 고급호텔에서 한다면 식사비가 비싸니 참석해서 5만원하면 쫌 불편하겠지요


  • 안녕하세요. 고혹적인홍학216입니다.


    저도 곧 결혼식을 앞두고 있어 생각이 나서 글을 남깁니다


    돈은 솔직히 중요한게 아니라고하나 혼주 입장에서는


    요즘 식대비가 올라 기본 4만원-5만원 정도 하더라구요


    3만원-5만원을 내고 식사를 하면 혼주는 남는게 없죠..


    그래서 안오고 돈만 보내는게 Best 긴 하지만


    자리를 채워주는것도 고마워해야할것 같아요.


    그리고


    직장생활 10년을 넘겨본 결과 부조금과 축의금을 모두 챙겨가며


    이곳저곳 돌아다녔지만 안 올 사람은 안오더라.. 라는 결론


    질문 요지는 얼마를 해야할지 였지만


    나중에 돌이켜보면 나는 다 참석했는데? 돈을 냈는데?


    돌아오는것이 없는 자리라면 안가셔도 되요


  • 안녕하세요. 재밌는북극곰287입니다.

    물가가 올라서 5만원 추천합니다 적당한 금액이 좋은것 같아요 ~~부담스럽게 많이 하지 마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