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수출 위한 대미 자동차 관세 협상, 실무 준비는요
미국이 일본과 車관세 협상을 마무리한다는데, 무역 실무팀에서는 한국산 자동차 및 부품 수출 전략을 어떤 방향으로 수정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일단 미국과 일본 간 자동차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꽤 긴장되는 시점입니다. 일본산 차량이나 부품에 대한 관세가 낮아지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실무 관점에서 보면, 우선 미국 현지 조립 비중이 높은 모델 중심으로 수출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부품 쪽은 원산지 기준을 미국 협정 기준에 맞춰 사전 검토해야 하며, 기존 한미 FTA 조건도 다시 들여다봐야 합니다. 바이어와의 장기계약 조정이나 공급선 다변화도 함께 검토해야 할 타이밍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일본 간 자동차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일본산 차량과 부품이 미국 시장에서 세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져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불리할 수 있어 친환경차, 전기차 등 차별화된 모델과 서비스 중심으로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나 fta 활용을 통한 관세 절감 방안을 모색하고, 공급망을 다변화해 일본과 직접 경쟁하는 품목 비중을 줄이는 방향도 검토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한국의 경우 여전히 협상 중이며, 이러한 협상이 언제 마무리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8.1일 기준으로 현재 EU 및 일본의 관세가 발효될 가능성이 높기에 이에 맞춰서 한국의 기업들도 최대한 선적 및 통관을 준비하는것이 좋습니다. 다만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호관세조차도 불투명하기에 이에 대하여 급하게 선적 및 통관을 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