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무상감자를 하면 회계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유상감자를 하면 기업의 보통주자본금이 감소하는 금액과 현금으로 지불한 금액의 차이가 감자차익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무상감자를 실시하면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무상감자를 실시하면 회계상 자본금은 줄어들지만, 실제 기업의 자산이나 부채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무상감자는 주로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합니다. 무상감자는 주주에게 별도의 보상 없이 자본금을 줄이는 것이므로, 자본금이 감소합니다. 자본금 감소액과 주주에게 지급하는 금액의 차이인 감자차익이 발생합니다. 무상감자의 경우 주주에게 지급하는 금액이 없으므로, 자본금 감소액 전체가 감자차익이 됩니다. 발생한 감자차익은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됩니다. 주로 결손금 보전에 사용되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데 활용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무상감자시 회계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 소각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대가가 없기 때문에 대신
자본계정인
자본금이 이월결손금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회계처리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제표상으로 자본항목만 변동되는것이며 형식상으로 결손금을 지우기 위해서 행하는 제도입니다.
기억이 지속적으로 적자가 나게 되면 이익잉여금이 결국 결손금으로 전환됩니다. 이경우에는 총자본에서 자본금과 결손금이 있다면 자본금 10억 결손금 2억 이라고 하면 총자본은 8억입니다.
그렇다면 무상감자를 하게되면 결손금 2억을 차변에서 없애주고 자본금 항목 2억이 증가 하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되면 자본금 8억 총자본 8억 결손금 0억으로 회계처리가 되는구조입니다. 즉 재무제표에서 자본항목을 이동시키는 결손금을 없애기 위한 재무제표처리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상감자는 무상으로 순이익을 자본화 하는 것입니다. 주주는 지분율만큼 더 많은 주식을 받게 되는데 회계처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회사 입장에서 자본 항목의 전체 금액에는 변화가 없고 이익잉여금 중 일부가 보통주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으로 이전 되는 것이고 기존 주주들은 주식 수와 투자 원금이 불어나는 호재라 할 수 있습니다.
무상감사 금액을 100으로 가정 > 이익잉여금 100이 줄고 보통주 자본금 100이 늘어남(이때 자본잉여금은 없다고 가정)
(차변) 이익잉여금 100
(대변) 보통주 자본금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