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똑똑한파리매91
똑똑한파리매9123.02.07

주식을 투자할때 보는 주가수익비율이 무엇인가여?

주식을 투자할때 그 회사에 주가수익비율을 보라고 하는데, 이게 정확히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봐야 할 항목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Price-to-Earning ratio)은 기업의 주가를 수익에 비례하여 측정하는 금융 지표입니다. 현재 주식의 주당 시가를 회사의 주당이익(EPS)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P/E 비율은 서로 다른 주식의 가치를 비교하고 상대적인 가치를 투자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P/E 비율이 높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미래의 강력한 수익 성장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해당 주식에 대해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다만 P/E 비율이 낮다는 것은 해당 종목이 저평가되거나 실적 성장세가 약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주식을 평가할 때는 정보에 입각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위해 여러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5가지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다:

    기타 주식투자시 주요 지표들,
    1) 주당 수익(EPS): 이것은 순이익을 미지급 주식 수로 나누어 회사의 수익성을 측정합니다. 높은 EPS는 수익성이 있는 회사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집니다.

    2) 배당수익률: 이것은 현재 주가의 백분율로 표현되는 주식에 의해 발생하는 소득의 양을 측정하며 높은 배당수익률은 안정적인 수입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집니다.

    3) 매출 증가: 이것은 기업의 수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비율을 측정합니다. 수익 성장이 강한 회사는 일반적으로 성장하고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제안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더 매력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4) 부채 대 자본 비율: 이것은 기업의 부채 규모를 자본 대비 측정하며 부채비율이 높으면 레버리지(지렛대)가 높아 경기침체를 견디지 못할 수 있고 부채비율이 낮다는 것은 금융안정성을 시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Price Earnings ratio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으로 나눈 값인데요.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몇 배인 가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또는 주식 한 주가 창출하는 이익 1원에 대해 투자자들은 얼마를 지불하는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 회사의 주식을 예측 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 중의 하나 입니다. 그 회사의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활동성 등에 대한 분석을 더 정확하게 하고자 한다면 그 회사의 재무 재표( 현금 흐름표, 대차 대조표 등) 도 중요 하겠지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주가 대비 수익률입니다. PER라고도 하죠.

    주가 대비해서 얼마나 돈을 잘 벌고 있느냐이기에 기업 평가에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주가가 만약 10,000인데

    주당 수익이 1,000원과 2,000원이 있으면

    당연히 2,000원 버는 곳이 운영을 더 잘 한거겠죠?

    그러므로 PER는 작을 수록 돈을 잘 번다는 얘기이고 앞으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준은 10으로 잡으시면 되고 10이상이면 고가인거고

    10아래면 저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은 해당 회사의 순이익을 몇년지를 모으면

    해당 기업을 인수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평가지표로 사용됩니다.

    이와 더불어서 PBR, PSR, ROE 등 여러가지 지표를 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