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률이 떨어지는건 우리나라만 그런가요?
우리나라의 청년 취업률이 점점 떨어지는걸로 아는데요 우리나라만 이런현상이 있는지 아니면 전세계적인 현상인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청년 취업률이 떨어지는 것은 우리나라만 그런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청년 취업이 잘 되는 나라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일본은 청년 취업이 잘 되는 곳이지만
아쉽게도 우리나라, 중국, 대만, 그리고 기타 여러 나라들은
청년 취업이 어려운 곳들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 실업률은 전세계적인 추세입니다.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전세계 청년 실업률은 13%로 1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OECD 국가들의 평균 청년 실업률은 11%로 전체 실업률보다 두배 이상높은 상태 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2일(현지시간) ILO가 발간한 '2024 청년 고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 실업률은 13%로 15년 만에 가장 낮았다고 합니다. 결국 우리나라가 유독 취업률이 안좋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세계 시장에서 기술력을 갖춘 우수한 역량의 Z세대가 각광받는 반면, 국내에서는 일자리 선순환 구조가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면서 해외로의 인재유출, 국가 성장과 경쟁률 정체의 장기화가 이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청년 취업률이 떨어지는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인 현상입니다. 다만, 국가별로 하락의 원인과 그 심각성, 그리고 나타나는 특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단순히 실업 상태가 아니라 구직 활동조차 하지 않고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청년 인구가 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좋은 일자리 부족, 경력 위주의 채용 구조, 과도한 스펙 요구 등으로 인해 구직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산업 구조의 변화와 특정 산업의 부진이 청년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제노동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글로벌 청년 실업률은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아직도 많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 취업률 하락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입니다.
청년들이 더 오래 공부하면서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지며, 단순 노동 일자리가 감소하여 고숙련 인재만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OECD 국가들 전반에서 청년층의 고용지표가 약세를 보이고 있어, 이는 전 세계적인 구조적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의 취업률은 전세계를 기준으로 하여 기존보다 떨어진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아시아 뿐 아니라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도 동일한 형상을 보였습니다. 다만 아프리카와 아랍의 국가들은 이러한 수치들이 감소해도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인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국의 취업률은 청년들을 기준으로 하여 취업률이 떨어지기에 이러한 것은 청년층을 겨냥한 지원을 고려하거나, 교육을 통한 시장에서의 준비된 인재가 되도록 노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