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그버그는 천적이 없나요,, 새도 안먹는다고 하는데요.
러브버그관련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새들도 러브버그를 먹지 않는지요. 새들도 맛이 없어서 먹지 않는다고 지인분이 그러시네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러브버그는 산화 폴리페놀을 포함한 체액으로인해서 쓴맛을가지고있고,
점성이 강해서 대부분의 새나 포식자가 기피한다고합니다.
생화학적인 방어기제를 가지고있어 사실상 천적이 거의 없고 개체수 폭증에 취약한 시스템구조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네, 원래 해외에서 새로운 생물이 유입되면 기존 생물들이 이들을 먹이로 인식하고 잡아먹기까지 시간이 필요한데요, 처음엔 천적이 없어서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러브버그는 산성 체액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포식자인 새나 개구리가 먹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하지만 참새와 까치는 러브버그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러브버그의 천적으로 참새와 까치를 들 수 있으며 시일이 지남에 따라 러브버그의 천적은 더 증가할 것입니다.
현재로서는 특별한 천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말씀처럼 새도 잘 먹지 안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러브버그의 맛이 없고 냄새가 날뿐만 아니라 먹기도 껄끄러운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고 간접적이긴 하지만 약간의 독성까지 가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곤충을 먹는 거미나 사마귀, 일부 기생벌 등은 러그버그를 포식할 수 있지만,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의 천적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알려진 참새 역시 유의미한 정도의 포식은 하지 않고 오히려 피하는 상황이죠.
러브버그는 성충의 경우 특별한 천적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새나 개구리, 두꺼비 같은 일반적인 포식자들도 러브버그를 잘 먹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러브버그 성충이 지닌 특정 물질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만 유충 단계에서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등이 천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