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눃환자는 췌장에서 인슐린이 아예 분비가 안되는지요?
당뇨환자는 췌장 기능이 망가져서 인슐린 분비가 안되어서 혈당이 올라가는지 췌장은 정상일 수도 있는데 당분을 과다 섭취해서 그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췌장에서 인슐린 기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며 인슐린 분비 능력이
떨어지고 인슐린에 대한 세포 반응이 떨어질 때 당뇨가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근육량이 적고 지방 세포가 많을 때 당뇨가 잘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1형 당뇨의 경우 췌장에서 인슐린이 거의 분비가 되지 않고
2형 당뇨의 경우 처음에는 췌장에서 인슐린이 더 많이 분비되고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합니다) 이후에는 췌장 세포의 기능이 줄어 들어서 인슐린 분비가 감소합니다.
1형 당뇨는 췌장 세포를 공격하는 자가 면역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형 당뇨는 단 음식이 중요한 원인이고, 운동부족, 비만 등도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당뇨병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췌장의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거의 또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반면,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초기에는 인슐린 분비가 정상적이거나 증가하지만,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체내 세포들이 인슐린에 잘 반응하지 않아 혈당 조절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췌장 기능이 저하되면서 인슐린 분비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제1형 당뇨병은 췌장 기능의 문제로 인슐린 분비가 거의 없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제2형 당뇨병은 초기에는 췌장 기능이 정상적일 수 있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 복합적인 문제로 인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당뇨 환자의 췌장 기능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우선 당뇨병은 1형과 2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면역 시스템이 췌장의 베타세포(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합니다. 이로 인해 인슐린 분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반면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췌장이 정상적으로 인슐린을 분비할 수 있지만, 체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아 혈당이 조절되지 않게 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췌장은 과도한 인슐린을 분비하려고 노력하다가 점차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유형에 따라 인슐린 분비의 정도는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