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새로운걸 무조건 싫어! 라고 말한다면요?
새로운 활동이나 환경에 대해서 접해보지 않고 무조건 싫어! 아니야!라고 말해봅니다. 그래서 여러 상황을 들어서 한번 도전해보고 이끌어 가고 있는데, 매번 이런 방법으로 해도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새로운 것을 거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지속적으로 거부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단계별 접근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여 조금씩 늘려갑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음식을 먹일 때는 적은 양부터 시작하여 점점 양을 늘려나갑니다.놀이처럼 즐기기
새로운 활동을 놀이처럼 즐기면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친숙한 요소 추가
새로운 활동에 기존에 친숙한 요소를 추가하여 익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보상 제공
새로운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 보상을 제공하여 동기부여를 해줍니다.부모님의 시범
부모님이 먼저 새로운 활동을 시범 보여주면서 아이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대화를 통한 이해
아이와 대화를 통해 왜 새로운 것을 거부하는지 이유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함께 모색합니다.시간을 두고 기다리기
때로는 시간이 지나면 아이가 스스로 적응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보는 것도 좋습니다.전문가 도움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아이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해보세요. 파이팅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향에 따라서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떠한 시기가 되면 뭐 어떤것을 주더라도 싫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는 아이들이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잘 크고 있다고 생각을 하셔도 되겠지만 이를 훈육해주지 않으면 아이의 성격이 이상해질 수 있으니 중간에서 조율을 잘해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새로운 것을 무조건 싫어 라고 한다면 아이가 그 새로운 것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를 해주면서 아이가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시간을 두고 천천히 아이가 새로운 것에 익숙해 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기다려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이 직접 시범을 보여주면서 무서운 것이 아니라는 것과 재미있는 놀이 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새로운 부분을 시도하는 경험을 할 때 싫어라고 하는 원인에 대해 파악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부분을 시도하는 것에 시간이 걸리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또한 불안하고 초조하게 느끼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새로운 경험을 억지로 시켜주는 것보다 익숙한 경험을 여러 번 한 후에 새로운 경험을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집 앞 놀이터를 여 러 번 가서 좋아한다면 집앞 놀이터 7번 가고 옆동네 놀이터는 8번째 때 시도해주시는 것이 아이에게는 버겁지 않고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작은 도전들을 해보고 성취할 수 있도록 많이 도와주세요
그러한 시도들을 통해서 할수있다는 자신감과 자존감이 올라갑니다.
지금의 방법으로도 충분히 잘하고 계십니다.
항상 칭찬과 격려도 잊지 마시구요.
안녕하세요. 아이들은 선천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도전하는 것을 특히 어려워하는 아이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아이가 도던을 하고 성공의 경험을 맛보는 것이 좋습니다. 성공의 경험을 자주 경험하다가 보면 자연스럽게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두려움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익숙한걸 좋아하고 새로운걸 도전하기 싫어합니다 그래도 옆에서 부모님이 잘한다고 해주시며 아이에게 용기를 불어넣어주면 싫지만 부모님께 인정받으려고 새로운것에 도전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익숙한 것을 선호하고 변화를 싫어하는 성향으로 보입니다. 다만, 앞으로 성장하면서 익숙한 것보다는 새로운 것을 더 많이 접하게 될 테니 새로운 것에 익숙해지도록 독려해 주시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새로운 경험이 긍정적인 감정을 줄 수 있게끔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타고난 성향상 새로운 상황이나 환경에 노출되고 적응하는것이 쉽지 않아서 그럴겁니다. 아마도 아이가 싫어병에 걸렸나 봅니다. 아직 많이 어리기에 표현이 서툴겁니다. 이렇게 싫어하는 감정도 결국 아이의 하나의 감정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주시고 수용해 주시는 게 우선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이러한 부정적 표현들을 자꾸 하게 되면 아이의 정서 발달에도우이 되지 않습니다. 싫어라는 표현대신에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게끔 하는 연습을 시켜 주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처음엔 좀 힘들지만 지속적으로 연습을 하면 언젠가는 자신의 감정 표현을 올바르게 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새로운 환경이나 활동을 하려고 할때 불안감을 느끼거나 두려움에 싫다고 말을 할수 있습니다. 아이가 싫다고 말을 하면 억지로 시키는 것보다는 아이가 불안감이 덜할수 있게 예시를 들어주면서 시도해보고 이끌어주시는 것은 좋다고 봅니다. 새로운 것을 시도할때는 부담감을 느끼지 않도록 작은 단계에서 시작해보고 격려와 칭찬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것 부터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주고 시도해봄으로써 격려와 칭찬을 해주는 것을 반복적으로 하다보면 아이스스로도 자신감을 가지고 할수 있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싫어하는아이의경우
1.새로운것에대해 가정에서무의식적으로 부정적표현을많이들음
2.새로운것에대해조심하고주의하여걱정부터표현
이런것을바꾸는게우선되면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