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아기곰
아기곰

Ai실감형 책 무지개빛으로 빛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새로 생긴 도서관에서 실감형 책이라는 것을 보고 촬영하려고 하니 이렇게 나오는데 무슨 이유가 있을까요? 손을 광원 아래에 넣어보기도 했는데 그림은 휘지만 무지개는 휘지 않는 것처럼 보였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실감형 책의 경우 미세한 패턴이 있어서 빛을 반사 또는 분리해서 보여주게 됩니다. 그런데 눈으로 보는 것과 스마트폰으로 보는 것이 차이나는 것은 스마트폰이 촬영하는 각도에 따라서 빛을 받아들이는 센서가 굴절되거나 나해서 카메라에서 보이는 빛의 색이 달라 질수 있어서 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무지개빛은 실감형 책에서 사용된 프로젝션 시스템이나 특수 필름이 빛을 회절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빛의 미세한 간섭 구조에 부딪힐 때 파장이 분리되어 스펙트럼처럼 무지개로 보이는 회절 현상입니다 손은 반사광만 받으므로 무지개가 따라오지 않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사진에서 무지개빛이 선명하게 보이는 건 빛이 렌티큘러나 홀로그램 필름을 통해 굴절되면서 파장이 분리돼서 그런 것입니다. 빛의 굴절 각도와 특성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는데 굴절을 다르게 하면 다른 색상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실감형 책에서는 책 표면에 렌티큘러와 홀로그램 필름 등이 사용되어 빛을 비추거나 촬영을 할 때 색이 분해되 무지개 빛으로 보이게 됩니다. 무지개 빛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라 광학적 특성으로 촬영 시 특정 각도와 빛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런 효과 들은 의도적으로 만들어내며 시각적 매력 포인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