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요즘에는 부정선거가 없지만 예전에는 1950~1970년대에는 어떻게 부정선거를 하였나요?
우리나라에서 1950~1970년대는 격동의 시대라고 하는 시대였던것
같은데요 특히 요즘에는 그런일이 없지만 그당시만 하더라도 부정선거가
많았다고 하는데 부정선거 방식에는 어떤것들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부정 선거의 대표적 사례는 1960년 4대 대통령 선거입니다. 3.15 부정선거라고 하는데, 4할 사전 투표와 3인조 9인조 공개 투표 등 있습니다. 결국 4.19 혁명으로 이승만의 하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1967년 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정희 정부가 금품을 살포하고 중앙 정보부를 동원하여 불법 선거를 자행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한 예로 들면 박정희 대통령이 김대중 대통령 후보와 맞붙었던 선거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박정희는 쉽게 이길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김대중에게 큰 차이 없이 승리하게 되는데요. 사실 이 선거에서 박정희는 돈을 뿌리고 특혜를 주면서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겨우 승리한 것에 대하여 위기의식을 가졌고, 이에 따라서 유신 개헌을 하려 한 것이죠.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과거 부정선거 방식에는 투표함에 투표를 해서 미리 채워놓는다거나, 투표함을 바꿔치기 한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부정선거를 저질렀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과거 자유당 정권이 행했던 '3.15 부정선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