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03

바다의 색 투명도가 다른 이유가 궁금해요

해외 바다의 색은 엄청 예쁜곳도 많이 있고 우리나라만 해도 남해 동해 바닷물 색깔 차이와 투명도가 아주 많이 다른데 그 이유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

    Q: 왜 바닷물 색깔이 다를까요?

    A: 일반적으로 물 색깔은 모두 무색입니다...

    그런데 왜 색깔 차이가 나느냐는 바닷물 속에 플랑크톤이나 부유물과 같은 작은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빛을 반사하기때문에

    색깔이 차이가 나는것입니다.

    그 물속에 뻘 같은 진흙들이 많이 있으면 황색에 바닷물을 보일꺼고, 우점하고 있는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때문에

    에메랄드 빛을 띄는 바닷물을 보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깊을수록 빛이 들어갔다가 반사되어 나오는 양이 적어져 점점 짙은 푸른색이나 어두운색을 띠게 됩니다.

    즉,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는 물이 투명하게 보입니다.

    또는 실제로 바다마다 안의 영양염류나 플랑크톤 수에 따라서 탁도가 바뀌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먼저 바다가 파란 이유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수심이 깊은 바다를 통과하는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이 안쪽으로 흡수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만 표면으로 반사되어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그 외 다른 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 청록색 : 산호초로 인해 생성된 식물성 플랑크톤이 녹색 색소를 띄기 때문입니다.

    - 황색 : 수심이 얕고 갯벌이 있기 때문입니다.(진흙 색)

    - 검은색 : 염도가 낮고 용해된 산소가 부족해 박테리아가 서식하게 됩니다.

    박테리아가 죽으면서 생겨난 황화수소 때문에 까맣게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3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무색,무취 무미한것인데 파란색인 이유는 빛의 스펙트럼 파장의 길이가 다른이유입니다

    붉은색 ,주황색.보라 ,초록,파팡색 의 파장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긴것은 바다 깊숙히 흡수되어 산란되고,파장이 가장 짧은 파란색가장 얕은표면에서 산란되어 파란 빞으로 보입니다.

    즉 청색광이 사람의 눈이 식별할수 있는 가장 짧은 빛입니다.

    하지만 바다물에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깊이 ,해구,대륙붕,다양한 바다생물(산호,플랑크톤)에 따라 변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서해를 황해로 부른이유도 중국에서 유입되는 황토물이나 황사로 인해 누렇게 되어 변한이유이고

    홍해의 경우는 바다속에 붉은색 계통의해조류 많은이유며, 흑해는 바다에 산소유입이적어 퇴적물이 부패되어 검은색을 띠는이유입니다.

    하늘의 파란 이유도 빛의 파장 때문에 우리눈에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색은 바다 오염도와 태양빛이 바다에 굴절, 산란, 반사가 되면서 결정이 됩니다. 이는 보는 사람의 위치와 시야각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 포함된 각종 미네랄 및 부유물, 염도의 차이입니다.

    물은 빛을 투과하지만 물 속 물질은 빛을 흡수하며 색상을 나타내는데요 그 물질에 비해 물 색이 정해지는 것이비다.

    깊은 바다가 검은 색인 이유도 깊이 들어갈 수록 물 속 물질에 의해 빛이 모두 흡수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