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아들이 외롭다며 강아지를 사달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님
다름아니라 외동 아들 현재 13세 이구요
본인이 외동이라 그런지 외롭다며 애완견을 사달라고 합니다
저희는 강아지 키울 형편도 안되고
씻기도 밥주고 똥치울 자신이 없어요
본인이 하겠다고 하는데 믿지 못하겠구요
자꾸 때를 쓰는데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애완동물을 가정에서 함께 키우게 되면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굉장히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애완동물의 키우면서 아이들은 다른 생명체에 대해 배려를 하게 되고 애정과 관심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누군가를 위해서 무엇인가 준비하게 되고 희생하는 마음도 갖게되죠. 사회성발달에도 큰 영향을 주게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면 아이의 정서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정서발달 뿐 아니라 아이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고양이, 개털 알레르기가 있다면 다른 반려동물(거북이, 물고기, 햄스터, 토끼, 기니피그, 앵무새 등)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의 발달에 반려동물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책임감을 강하게 하고, 약자에 대한 배려심을 배울 수 있게 해줍니다.
서로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주고, 내성적인 아이도 활발한 성격으로 바꿔줍니다.
반려견의 경우 지속적으로 산책을 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신체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장점이 있으나 정작 아이가 원해서 키우다보면 결국에는 부모님의 일이 많아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럴 때는 아이에게 '너가 강아지를 잘 보살펴줄 수 있을지 의심스러워서 못 키우는 거다'라는 식으로 아이에게 책임을 돌리는 식으로 말을 해서는 안 되고 부모님이 지금 느끼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를 솔직하게 말씀해주시면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미안하지만 강아지를 키울 형편이 안된다고 솔직하게 말해줘야 아이가 알아듣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상황을 정확하게 전달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성인이 되어서 본인이 직접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여러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할 수 있고 반려동물과 스킨십하는 것만으로
심리가 안정되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실제 키울때 대소변문제,
목욕, 예방접종 등의 여러가지 실제로 해야할 문제들이 많이 있으니
대화를 통해 현명하게 선택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단호하게 강아지를 집에서 키울 수 없음을 말해주시고.
왜 가정에서 강아지를 키울 수 없는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해주도록 하세요.
또한 아이가 강아지를 좋아한다면 강아지 인형을 사주셔서 아이의 마음을 달래어 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단호하게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음과 왜 떼를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더나아가 갖고 싶다고 해서 다 갖을 순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인지시켜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외아들이면 혼자라 좀 외롭긴 하죠.
반려견과 반려묘가 있으면 서로 소통하고 말동무도 생기고 좋긴해요.
하지만 책임이 뒤따르지요.
반려견은 손이 많이가고
반려묘는 털이 많이 빠지구요.
아이가 13살이라면 책임감이 있어 잘 할꺼 같은데요.
부모님이 모든것이 부담되면
아이와 충분히 이야기를 나눠서
물고기나 달팽이, 햄스터 등
키워보는것도 좋을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