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신용자'라 하면 어떤 사람들을 말하는 것인가요?
금융기관에서 평가하는 신용도와 관련하여 '중신용자'라 하면 어느 정도의 신용도를 가진 사람들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신용자는 신용 점수가 중간 정도인 사람들을 말합니다. 보통 신용 점수가 680~ 740 사이인 경우 중신용자로 분류됩니다.
높은 신용 점수를 가진 사람들보다는 조금 더 높은 이자율을 적용받을 수 있지만 대출이나 신용카드 발급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신용자란 신용등급이 중간 단계인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신용점수 하위 50%를 의미하며, KCB 신용점수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신용점수 820점 이하인 사람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신용자라 하면 900~800점대 사이에 있는 차주들을 말합니다
현재 국내 신용점수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900점 이상이고 그 이하의 경우
중신용자 혹은 중저신용자로 분류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차주들을 위해 저축은행이나 인터넷은행이 중금리 대출상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중신용자란 어떤 이들을 가리키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중신용이란 중간 단계의 신용점수를 보유하고 있는 분들을 의미합니다.
신용점수로는 하위 50퍼센트이며 통산 KCB 기준으로 820점 이하를 의미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신용자와 같은 경우 대략 신용점수 기준으로 600점에서 800점 사이의 신용점수를 가진 사람들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에 대한 신용등급을 1등급(최고등급)부터 10등급(최하위등급)으로 나눌때 중신용자라 함은 대략 4등급에서 6등급 사이에 해당하는 개인을 말합니다. 중신용자의 경우, 대출한도나 대출금리에서 상위등급보다 불리하게 적용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점수은 크게 개인신용평가회사 에서 각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한 점수를 말합니다. 신용거래시 연체 유무, 금액, 기간, 다중채무 등을 종합하여 정해집니다. 2020년까지는 개인신용등급은 1등급에서부터 10등급까지 분류되어 있었다. 1~2등급은 우량, 3~6등급은 일반, 7~8등급은 주의군, 9~10등급은 위험군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여기서 일반등급인 3.~6등급인 분들이 중신용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딱 정의된 것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신용점수 기준 601~800점 사이를 중신용자라고 합니다. 고신용자와 저신용자를 위한 대출은 많으나 중신용자를 위한 상품이 많지 않아 오히려 애매하다는 이야기들이 나올때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신용자'는 신용등급이 중간 수준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이나 신용평가 기관에서는 신용등급을 여러 단계로 나누는데, 상위권에 위치한 사람들을 '고신용자', 하위권에 위치한 사람들을 '저신용자'로 분류합니다.
'중신용자'는 이들 사이에 속하는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신용 점수가 700~750 정도라면 중신용자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중신용자라하면 보통 신용점수가 601점부터 800점 사이인 분들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융기관마다 다르지만 나이스 신용점수 기준으로는 839점 이하
664점 이사이 중신용자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