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역사에서 남미와 같은 아메리카에서 금광이 유입되면서 유럽의 봉건사회와 경제구조가 어떻게 된건가요
서구역사에서 남미와 같은 아메리카에서 금광을 통해서 대규모로 금광이 유입되는데요 그러면서 유럽의 봉건사회와 경제구조가 흔들리게 되는데 이런 요인으로 어떻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메리카에서 쏟아져 들어온 금은 단순한 부의 유입이 아니라 유럽 사회판을 흔드는 충격 같은 거였습니다. 금이 많아지니 돈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는 뛰었죠. 농민들이나 영주들보다 상업에 뛰어든 도시 상인들이 더 빨리 돈을 굴릴 수 있었고, 그게 봉건적인 질서를 약하게 만들었습니다. 토지에서 나오는 수입보다 무역과 금융에서 나오는 돈이 더 중요해지니까 귀족 중심 체제가 점점 힘을 잃은 겁니다. 게다가 스페인 같은 나라가 초반엔 금을 독차지했지만 물가 폭등 때문에 경제가 뒤틀리기도 했습니다. 금이 넘치면서 유럽은 봉건적 땅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시장 경제 쪽으로 발걸음을 옮기게 됐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남미에서 대규모 금과 은이 유럽으로 유입되면서 화폐 가치가 흔들려 가격 혁명이 발생했습니다. 봉건 사회는 화폐 경제 확산으로 농노제가 약화되고 상공업과 자본주의의 토대가 자리 잡았습니다. 귀족 중심의 봉건 질서가 무너지고 상인, 부르주아 계급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남미에서 금광이 발견되고 채굴되어서 유럽에 유입되면서 경제 구조가 어떻게 되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유럽은 전세계에 다양한 식민지를 건설하였고
남미 등에서는 금광이 발견되고 금이 채굴되면서
유럽에 유입되어서 유럽의 급격한 산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금, 은 등의 경우 유럽에서의 타국으로 무역을 하면서 속국을 마련하는 제국주의가 되는 하나의 도화선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 무역을 통한 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었찌만, 특정국가에서 이러한 수익을 보이고, 이를 보고 여러나라들이 이러한 신대륙을 발견하려고 하다보니 서로 경쟁적으로 진출하고 이를 숙국으로 만들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속국을 독립시키는 과정에서 민족이나 성향을 파악하지 않아 요즘에도 각종 갈등의 도화선 및 이슈가 된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남미에서 유럽으로 유입된 대량의 금과 은은 유럽 봉건사회에 여러 면에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첫째, 막대한 금과 은의 유입으로 인해 유럽 내 화폐 공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즉 '가격 혁명'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상품과 토지의 가치가 급등하는 현상을 초래해 농민과 장원 소작인의 생활비 부담을 늘렸고, 봉건 영주와 농민 간 경제적 긴장을 심화시켰습니다.
둘째, 금은의 유입은 중앙집권적 국왕 권력 강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전에 세력을 분산시키고 있던 지방 영주들이 경제적 기반 약화와 세금 부담 증가로 영향력이 쇠퇴하는 반면, 국왕은 신대륙에서 유입된 금 은을 바탕으로 군사력과 관료 조직을 확충하며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셋째, 경제 변화는 기존의 장원제 기반의 봉건질서에 도전을 주고, 도시 상업 활동과 자본주의 초기 형태인 상업혁명을 촉진했습니다. 유럽 내 무역 중심지가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이동하고, 포르투갈, 스페인 등이 해상무역과 식민지 개척에 나서면서 봉건사회는 점차 상업경제와 시장 중심 경제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남미 금과 은의 유입은 유럽 봉건사회에서 화폐가치 하락과 물가 상승을 통한 경제적 압박, 중앙집권적 국가 권력 강화 및 봉건적 토지제도의 변화와 상업혁명을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바로 스페인이과 같이 대항해시대에 들어가면서 남미나 아프리카등 금광을 본격적으로 유럽으로 들어서면서 중세유럽의 봉건사회가 흔들리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서구권의 농경사회와 봉건사회에선 물가가 아예올라가지 않았으며 당시는 교역사회도 아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농경사회는 인구증가를해도 생산성이 기본적으로 한계체감의 원칙이므로 물가가 오를 수가 없었고 그렇기 때문에 항상 물가가 동일한 체제였습니다 그런데 남미의 대규모 금화가 유럽으로 유입되었고 이게 엄청난 물가 상승도 아니고 당시 2%대의연간 물가상승률을 보였는데 그당시에 1000년이 넘는 역사동안 영주 기사 대지주 상인 농민 이런 체제에서 항상 동일 교역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런 물가상승률을 영주도 눈치를 못챘고 항상 영주는 상품으로 받는걸 귀찮아해서 당시 금화로 받게 되었는데 이 금화로 지속적으로 받게되면서 구조가 바뀌게된것입니다 이렇게 통화질서의 흐름이 바뀌게 되면서 매년 영주는 가난해지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빠르게 눈치챈 농민이나 대지주 상인이나 이런 사람들이 캐치한사람들이 이런점을 노려서 교역에 유리해지면서 이런 지배구조 체계가 흔들리고 영주는 자신의 토지를 팔게 되는 구조로 시간이 흘러가면서 이들 지위간의 위치가 바뀌게 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