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지금도풍부한자라
지금도풍부한자라

아기 뇌파검사 질문요. ...!..

성별
남성
나이대
2

16개월아기 열경련이잇어서 병원에서 기본검사후 뇌파검사하고 뇌척수도햇어요..근데 뇌파가안좋다는식으로 얘기를햇는데.. 아기는 자면서 멍한상태인가요?..그럼이거는 혼수상태라봐야하나요?

근데 눈만안떳을뿐이지 조금울고 자고 재채기하고 자거든요..ㅠ눈뜬모습보고싶은데 자고잇으니 속상해요ㅜ

만약 뇌파검사해서 원인을못찾는다면 중환자실까지갈수잇나요??ㅜㅜ 다른아기들은 뇌파검사하면 이상없거나..경련파가잇어서 약도 먹고하는데 저희아기는 왜그런걸까요?????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아이가 열경련 후 뇌파가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으시고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뇌파 검사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해서 반드시 혼수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아이가 울거나 재채기를 하는 등의 반응이 있다면 의식은 어느 정도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뇌파 이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나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뇌파 검사에서 원인을 찾지 못한다고 해서 반드시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것은 아니며, 아이의 전반적인 상태와 추가적인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다른 아기들과 비교하며 불안해하지 마시고, 담당 의사 선생님과 충분히 상담하여 아이에게 필요한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회복을 위해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시고, 의료진을 믿고 꾸준히 치료에 임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뇌파검사는 아기의 뇌 활동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아이가 뇌파검사 중에 멍한 상태로 보일 수 있다는 점은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이것이 혼수상태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아이가 눈만 감고 있을 뿐, 울거나 재채기를 하는 등 반응을 보이고 있다면, 의식이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뇌파가 좋지 않다는 결과를 받으셨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반드시 심각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파의 이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그중 일부는 일시적이거나 약물로 관리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자세한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 방안을 제시할 것입니다.

    또한, 뇌파검사만으로 모든 원인을 밝혀내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의심되는 이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더욱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중환자실에서의 치료는 더 나은 관찰과 응급 대응이 필요할 때 선택됩니다. 질문자분의 아기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 정확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의료진은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아기가 뇌파검사에서 이상이 있다고 들으면, 부모님으로서는 매우 불안하고 힘든 상황일 수 있습니다. 뇌파검사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로, 아기가 자고 있는 동안 뇌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게 됩니다. 보통 아기가 잠을 자는 동안 뇌파 검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아기가 ‘멍한 상태’라고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이는 혼수상태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아기가 잠을 자는 동안 눈을 뜨지 않거나 반응이 적게 보일 수 있지만, 잠에서 깨면 정상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아기가 재채기하고 조금 울면서 자는 모습은 그만큼 자율 신경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죠

    뇌파 검사에서 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반드시 중환자실로 가야 하는 상황은 아닙니다. 물론 경련이나 뇌파 이상이 발견되면 추가적인 진료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다른 아기들이 뇌파 검사에서 이상이 없거나 경련파를 확인하고 약물을 처방받은 경우도 있지만, 아기마다 뇌의 발달 상태나 반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기의 뇌파에서 문제가 나타났다고 해서 바로 위중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건 보다 더 정밀한 진료와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