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보다 디플레이션을 더 두려워 하는 이유가 뭔가요?
미국 중앙은행에서 인플레이션 잡는다고 기준금리를 왕창 올리고 있잖아요. 인플레이션 잡는다고 온 힘을 다 기울이는 것 같은데, FED가 인플레이션 보다 디플레이션을 더 두려워한다고 들은것 같은데 이유가 뭔가요?
왜 인플레이션 보다 디플레이션을 더 두려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당한 인플레이션(2% 수준으로 정의) 소비를 자극하여 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면서 경제가 성장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큰 폭의 구매력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오히려 소비를 위축시켜서 경제에 도움이 안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통해서 통제를 하는 것 입니다.
하지만 더욱 더 두려워 하는 것은 경기의 장기침체를 유발하는 디플레이션 입니다. 디플레이션이라는 것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뜻하며, 이는 현금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는 뜻 입니다. 이렇게 사람들 심리속에 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생각이 자리를 잡다면, 물건을 바로 사지 않고 물건 가격이 더 떨어진 뒤에 사려고 할 것 입니다. 그렇게 되면 기업들의 매출은 하락하게 되고 재고는 쌓이게 됩니다. 재고 처리를 위해서는 할인 판매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수익성 유지를 위해서 고용 등을 줄이게 되면서 경기는 위축 국면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고용이 감소한다는 뜻은 사람들의 소득이 감소한다는 뜻이며, 이는 소비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러면 다시 기업의 실적은 악화되는, 장기침체로 진입하게됩니다.
이런 경제의 악순환이 각 국의 정부와 중앙은행이 디플레이션을 두려워하는 이유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