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한글 공부시기가 궁금합니다.
지금은 책 읽기만 해주고 있는데, 자음 모음 한글을 언제부터 가르쳐야할지 모르겟네요. 글만 읽고 그 뜻을 이해하지 못 하면 아무 소용이 없을거 같고 보통 언제하는 궁금합니다.
아이에게 책 읽기만 해주고 있는데
한글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한글 공부는 아이가 관심을 가질 때 시작하는게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학습지와 같은 평면 자료를 이용해서 학습하면 아이가 싫증을 낼 수도 있으니 놀이 식으로 접근하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번거롭겠지만 우선 집에 있는 사물 밑에 이름카드를 붙여주는 것도 좋습니다.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는 카드로 놀이를 하고 그림-글자를 분리해서 찾기 놀이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꾸준하게 책읽기를 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언어발달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길을 지날 때도 눈에 보이는 '현수막, 간판, 포스터 등'의 글자를 읽어보는 놀이를 하는 것도 한글 습득에 도움이 됩니다.(일명 글자사냥)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책을 읽을 수 있더라도 꾸준히 해주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한글공부를 시킬 때 자음 + 모음을 알려주기 보다는 그림카드를 제시 하거나, 실물 모형 또는 사진을 제시 하면서 그 단어를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이름을 알려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구요.
예를 들면 가지의 단어카드를 보고 읽어보거나, 색칠하기 및 글자 긁적거리기를 통해서 글을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글에 대해 조금씩 익숙해지면 책을 함께 읽어보며 아이에게 글자를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한글 공부 시기는 만 5세가 적당 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한글 자음과 모음을 가르치는 시기는 아이의 발달정도와 관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4세후반에서 5세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는 아이가 언어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이 생기고 기본적인 글자 인식을 시작하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다만 아이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흥미를 유도하는 방식이 중요합니다
공부 방법으로는 아이가 자음과 모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그림책,노래,카드게임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통 만 4-5세부터 자음과 모음을 놀이처럼 가르치기 시작하며, 책 읽기를 통해 글 이해력을 함께 키우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한글 공부는 만 4-5세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에 자음과 모음부터 천천히 소개하고 놀이를 통해 흥미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책 읽기는 언어 감각을 키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니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글을 읽고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부모님이 함께 읽어주고 느끼고 감상하는 것도 아이에게 큰 자산이 되고 공부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마다 다르지만, 보통 5-7세 사시에 한글을 가르치기 시작합니다. 자음과 모음은 놀이처럼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고, 글 이해력은 흥미있는 책을 읽으며 키우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음과 모음을 가리치는 적절한 시기는 아이의 발달 수준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만 3-4세 즈음 적당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글 공부는 보통 만 4~6세에 시작하며, 아이의 흥미와 언어 발달 상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처럼 책을 읽어주는 것은 좋은 접근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이에게 글자의 자음과 모음을 가르칠 때는 놀이처럼 재미있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